1038 0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한 구성주의 미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 연구

Title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한 구성주의 미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Constructivism Centered on Contemporary Art
Author
남효정
Alternative Author(s)
Nam, Hyo Jung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구성주의 미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연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현 교육과정의 통합적 목표인‘능력’위주의 인재를 키워내고 현대미술의 복잡성, 독자성, 가변성, 공존성을 이해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대미술을 토대로 평등한 교육관을 내걸고 창의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강조하고자 하며 현대미술의 가변적이고 복잡한 특성을 구성주의 미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으로 학생들에게 쉽게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개발한 교수·학습지도안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따른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을 따르고자 표현의 발상영역에 주목하였다. 기존의 7차 교육과정부터 중요하게 떠오른 주제 표현은 현 교육과정에서 주제를 탐색하는 데 생략, 상징, 은유 등의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 그리고 시대적 흐름과 현행 교육과정을 따른 문제해결력을 높이고자 다음과 같은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대미술과 구성주의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소 개념이 어려운 동시대미술을 이해하는 선지식을 제공하여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둘째, 구성주의 교수학습 모형과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 내용을 비교하여 구성주의의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셋째, 현대미술을 중점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사조로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하고 개방적인 매체 자료와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사고의 확장 능력을 마련하고 주제 표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학습·지도안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진행한 실제 수업을 통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지도안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의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긍정적인 참여와 이해도를 끌어내어 활동지를 통해 주제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현대미술이 어렵다는 편견을 깨는 데 도움이 되게 한다. 둘째, 주제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개념과 아이디어의 중요성을 알고 의미 있는 내면의 표출과 타인과의 상호 작용으로 자아성찰과 더불어 협동학습을 실행할 수 있다. 셋째, 현대미술의 개념들을 자기 주도적 학습과 교사의 모델링을 통한 간접 체험으로 자신의 일상과 연결하여 자신의 삶과 소통하고 연결하는 사회적·맥락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넷째, 교사의 상호 협력적인 태도와 스캐폴딩으로 학습자들은 학습 환경에 적응하고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한다. 위의 구성주의 미술교육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학습자는 능동적 주체로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과 내적 동기를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현대미술을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사를 바탕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유용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문제해결력을 높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발상 능력을 길러 창의적 사고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활동을 통해 자아성찰적 학습과 반성적 추상을 통한 자기관리 역량, 타인과의 상호 교류를 통한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높여 학생들의 능동적인 태도를 기르고 실제적인 학습, 삶의 맥락을 반영할 수 있는 미술교육의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91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0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