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0 0

서사음악극의 번안 양상 연구

Title
서사음악극의 번안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spect of Adapted Opera: - Focused on Benjamin Britten’s and
Author
박동규
Alternative Author(s)
Park, Dong Kyu
Advisor(s)
김용범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우리가 사는 현재는 다매체, 다채널, 다문화 시대이며 이를 이용하여 탄생하는 수많은 스토리(Story)들, 즉 문화콘텐츠의 시대이다. 무한 창작의 시대에서 소설, 영화, 게임, 만화, 연극, 오페라, 뮤지컬, 음악, 미술 등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 된다. 그러나 모방과 각색을 통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문화콘텐츠의 담론 중 각색은 흔하지만, 원작이 아닌 것으로 인해 평가에서 소외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각색의 한 분류로서 린다 허천(Linda Hutcheon) 저서 『A Theory of Adaptation』(2E, 2012)에서 제시한 각색의 이론을 바탕으로 번안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서사음악극의 번안 양상연구에 적용시켜보았다. 서사음악극은 서사, 즉 극적인 이야기를 음악을 이용하여 공연하는 공연용 극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뮤지컬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음악극은 동·서양의 고대시대부터 음악을 이용한 연극과 가면을 이용한 공연양식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1813~1883)는 오페라를 전체예술(종합예술)로 정의하고 악극(樂劇, Musikdrama)라 칭하면서 음악극의 개념을 창시하였다. 음악과 문학, 연극, 무용의 결합이라는 개념으로 본다면 넓게는 오페라와 뮤지컬, 레뷰 등 서양의 음악극과 판소리, 창극 등 한국의 전통극도 서사음악극에 포함되며 동양의 유사한 공연 양식을 모두 담을 수 있으므로 서사음악극의 범위는 상당히 포괄적인 지위를 가지게 된다. 서양 서사음악극의 기원을 따라 가면 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만나게 되는데 고대그리스의 연극에서는 신화를 주제로 가면과 음악을 이용한 음악연극이 있었다. 로마제국 붕괴 이후 중세시대를 그리스, 로마의 고전 문화 부흥을 통해 새 시대로 바꾸자는 르네상스(Renaissance) 정신에 따라 초기 오페라가 완성되었다. 즉, 서양의 서사음악극은 오페라로 대표된다. 한국의 서사음악극은 판소리가 대표적이다. 그리고 전통연희들도 사회비판과 풍자, 만담이 음악을 통해서 표현되는 공연극이라는 점에서 음악극 형식에 부합한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사례 연구에서는 서양과 동양의 대표적인 번안, 각색된 콘텐츠를 선행사례로 분석하여 서사음악극을 분석하기 위한 번안의 이론을 추출하였다.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번안한 연극 <하멸 태자>,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번안한 뮤지컬 영화 , 독일 그립스 극단의 뮤지컬을 번안한 <지하철 1호선> 총 3개의 사례를 바탕으로 맥락(Context)을 분석하였고, 린다 허천의 이론을 바탕으로 번안 양상분석을 위한 도구를 설계하였다. 본론으로 벤자민 브리튼의 오페라 가 일본의 전통 가면극 노(Noh)의 스미다강(Sumidagawa)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을 살펴보았고, 이를 번안한 오페라 <섬진강 나루>를 앞서 설계한 분석용 이론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먼저 번안의 맥락(Context)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번안의 요소를 먼저 보았고, 맥락이 가진 의미를 추출하여 번안의 최종 목표인 서양음악극의 한국화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번안의 요소와 한국적 변개 양상을 통해 <섬진강 나루>가 완벽한 한국화의 과정을 거친 번안오페라임을 확인 하였다. 전통의 굴레에서 벗어나 지금 우리의 얼굴을 하고 우리의 현재 이야기를 하는 오페라가 만들어져야한다. 이를 위해 좋은 리브레토, 운문희곡이 지속적으로 생산되어야 하며, 각색과 번안을 통해 새로운 소재를 담는 시도가 이어져야만 한국 오페라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다. 주제어 : 서사음악극(Musical Play), 문화콘텐츠(Cultural Contents), 번안, 각색, 오페라 , 오페라 <섬진강 나루>; Abstract The present era we live in is the era of multimedia, multichannel, and multicultural, which are used to generate storytelling or cultural contents. In this era of endless creation,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such as novel, film, game, cartoon, play, opera, musical, music, art, etc. is always emphasized. However, adaptation of cultural contents, which is constantly reproduced through imitation and adaptation, has been excluded from evaluation because it is not an original work although it is common. Focusing on adaptation, this study explained the principles of adaptation based on its theory proposed by Linda Hutcheon in her book “A Theory of Adaptation” (2E, 2012), and applied to the research of adaptation aspects in musical plays. Musical plays refer to performance plays, which present a narration or dramatic story using music. “Although they mostly refer to musicals these days, the term music drama was born when German opera composer Richard Wagner advocated an art that integrates and unifies verse, music, and dance and named it ‘Musikdrama’. In this context, a music drama is a form of performance that intimately combines a play, music, and dance, but it also refers to opera, operetta, ballet, musical, and revue in a broad sense and can even include Korea’s pansori or Korean traditional opera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 The tragedies of ancient Greece can be met by tracing the origin of West musical plays, and ancient Greek plays had musical plays using masks and music with mythology themes. After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there was a Renaissance movement to change into a new era through the revival of Greek and Roman classical culture during the medieval era, which gave birth to early opera. In other words, western musical plays of are represented by Opera. Pansori represents Korean musical plays, and traditional plays such as madangnori (traditional Korean outdoor performances) also meet the format of music drama as they are performances that express social criticisms, satires, and comic talks through social criticisms through music. Based on this, the study analyzed opera among musical plays, for which the preceding study extracted the theory of adaptation by analyzing the key adaptations and adapted contents of the East and West. The study analyzed the contexts of 3 main examples: play that adapted written by Shakespeare, musical film that adapted by Shakespeare, and musical which adapted musical by German Grips Theater. Based on Linda Hutcheon’s theory, the study designed a theory to analyze the adaptation aspect of musical plays. In the body, the research examined how Benjamin Britten’s opera was influenced by , a traditional Japanese masque play Noh, and analyzed opera which adopted Britten’s opera according to the theory designed in this research.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context of adaptation to see the elements of general adaptation, and extracted the meaning of context to prove Western music drama’s Koreanization, the final goal of adaptation. This study confirmed is an adaptation opera that had perfect Koreanization through adaptation elements and Koreanization aspects. By moving away from the restraints of tradition, operas that talk about our present stories in our own ways. The continuity of Korean opera can be secured by producing good libretto and verse plays continuously and making attempts to incorporate new subjects through adaptation. Keywords: Musical play, Opera, Cultural contents, adaptation, Opera , Oper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7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6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