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 0

성별, 연령별 수요를 고려한 도시기반시설 공급기준에 관한 연구

Title
성별, 연령별 수요를 고려한 도시기반시설 공급기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n Supply Standards for Urban Infrastructure based on Demand for Gender and Cohort : Focused on Urban Parks in Seoul
Author
김홍배
Keywords
도시기반시설; 도시공원 적정 면적; 성별 연령별 이용 특성; 공급기준 설정; Urban Infrastructure; Proper Size of Urban Park; User Characteristics by Gender and Cohort; Setting Provision Standard
Issue Date
2012-06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Citation
국토계획, 2012, 47(3), P.123-131
Abstract
도시기반시설의 공급기준인 원단위 분석방법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제적인 이용자의 시설 이용 특성을 반영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서울시 도시 공원에 적용하여 적정 규모를 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공원의 규모를 산정하기 위한 3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지역의 도시공원 규모를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각 기준에 적용하여 2010년 서울시 도시공원의 규모를 산정하였으며, 각 기준에 의한 공급규모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본 논문은 원단위 분석에서 고려하지 못한 실제적인 이용자의 시설 이용 특성을 반영한 공급기준을 설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논문에서 제시한 도시공원 규모 산출 방법은 다른 도시기반시설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효율적인 도시기반시설 공급규모를 결정하는데 있어 첫 걸음의 기초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공급규모 산정 기준이 보다 일반적이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한다. 특히, 접근성, 공원 내 시설 종류 등이 향후 도시공원의 적정 규모를 산정하는데 구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Infrastructure is an essential facility that has a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Provision standards of the infrastructure are mostly derived from a criterion applied by basic unit analysis. However, since the basic unit analysis does not reflect users’ characteristics when using facilities, it can cause problems related to inefficient usage of infrastructure. This paper herein suggested a provision standard in consideration of utilization characteristics by gender and cohort, focusing on urban parks in Seoul. More specifically, herein suggested are 3 criteria that calculate urban park size, a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by gender and cohort through questionnaire analysis. By this applied to the provision standard, the provision size in 2010 for urban parks in Seoul was calculated and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most appropriate 15.69㎡ per person. This paper can be a basic, first step for determining a provision size of efficient infrastructure.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paper leave much for future research to generalize the criteria of calculating a provision standard suggested herei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913045http://hdl.handle.net/20.500.11754/67563
ISSN
1226-714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