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7 0

30대 전환기 우수역량 미혼여성의 경력전환 과정분석: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Title
30대 전환기 우수역량 미혼여성의 경력전환 과정분석: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How the career transition of single women with high competence turning point in their 30s: based on their identity change
Author
송영수
Keywords
여성 경력개발; 경력전환; 자아정체성; 근거이론; women’s career development; career transition; ground theory
Issue Date
2016-05
Publisher
한국성인교육학회
Citation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v.19, no.2, Page. 29-6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30대 전환기 미혼여성의 경력전환 전개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 제시를 통해 여성주의적 관점의 진로상담 및 경력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내용구성에 대한 통합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현재, 경력개발 관련 이론들은 남성 중심적으로 발달되어 왔으며, 몰성적 접근으로 인해 여성의 생애주기별 사건들의 특성과 젠더 정체성 갈등과 같은 내적변화들을 경력설계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30대 전환기에 놓인 미혼여성의 경력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및 경력전환 과정 탐색을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중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입사 5년 이내에 경력 전환을 경험한 우수 역량의 30대 전환기 미혼여성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으로 심층면담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범주는 ‘혼돈 속 전문성 강화를 통한 개별화된 자기되기’로 나타났으며 각각 중심범주를 둘러싼 원인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중심현상, 작용/상호작용, 결과 등이 패러다임 모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경력전환 내 정체성 변화 과정은 ‘부모의 딸’에서 ‘조직 내 여성’, 그리고 ‘개별화된 자기’의 단계로 중심 정체성이 이동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개별화된 자기되기’란 모든 역할들에서 벗어나 자기개성을 실현하는 ‘독립된 자아’로 변화하는 모습인 동시에 미해결된 심리적 과제를 진로와 통합하여 ‘주체적 자기’로 나아가는 성장과정 전반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은 30대 전환기 미혼여성 대상의 성인진로교육과 상담에 있어 성(gender)에서 파생된 정체성과 삶의 양식들을 진로와 통합하는 관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areer transition of single women with high competence and how their career transitions were managed based on Strauss and Corbin’s (199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emistructed, in-depth interviews of 10 single women with university degree who had undergone career transitions within five years of joining a company were conducted. Participants identified factors such as first born daughter complex, female identity as competence, reflection on work and life, detachment from parents, reminding life time dream, need to cure inferiority complex. The study revealed that single women with high competence attempted career transition in order to establish positive self-concept through self-identity enhancement and their perception of self-identity was developed from just a daughter to a young female employee, and then to identified-self.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in sights for educators and practitioners who develop career planning and coaching programs for female student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50025455493#http://hdl.handle.net/20.500.11754/65620
ISSN
1229-307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