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0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에서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에서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ubjective Well-Being in Organization
Author
송영수
Keywords
조직문화; 주관적 행복; 경쟁가치모형; Organizational Culture; Subjective Well-Being; Competing Value Model
Issue Date
2016-05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6, no.5, Page. 497-50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문화가 조직에서의 구성원들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장인 142명을 대상으로 조직에서 경험하는 조직문화와 주관적 행복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조직문화는 Quinn과 Kimberly의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주관적 행복은 한국적인 문화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된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조직문화는 조직에서의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조직문화가 주관적 행복을 28.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중에서 유일하게 집단 문화만이 주관적 행복에 정적인 영향(p<.001)을 미쳤다. 반면에 위계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는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한 조직문화는 주관적 행복의 하위 요인인 삶의 만족(p<.001), 긍정정서(p<.001), 부정정서(p<.05)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각각 35.3%, 26.0%, 5.1%의 설명력을 가졌다. 조직문화 중에서 유일하게 집단문화만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p<.001)을, 긍정정서에 정적인 영향(p<.001)을 미쳤고, 부정정서에는 부적인 영향(p<.01)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ubjective well-being in organization. For this, this study survey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those 142 workers experienced. CVM(Competing Value Model) and COMOSWB(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were used to measure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jective well-being(p<.001) in the organization and explained it as 28.4%. Only group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well-being(p<.001). On the other hand, hierarchic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p<.001) and positive emotion(p<.001), bu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negative emotion(p<.05) which are th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explained them as 35.3%, 26.0% and 5.1%. Only group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p<.001) and positive emotion(p<.001), but had negative influence on negative emotion(p<.01). Based on the drawn result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s further studies.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ArticleFullRecord.jsp?cn=CCTHCV_2016_v16n5_497http://hdl.handle.net/20.500.11754/65441
ISSN
1598-4877
DOI
10.5392/JKCA.2016.16.05.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