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0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개인의 신체활동 참여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Title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개인의 신체활동 참여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Author
이수기
Issue Date
2014-10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Citation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도시공학과 2015. 2
Abstract
일상생활 중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현대인들의 비만문제 해결과 건강증진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주목 받고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신체활동은 개인적인 요인 외에도 거주하고 있는 주거지의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최근 서구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 건강수준과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는 자료의 한계와 분석단위의 차이로 인해 일관성 있는 결과가 제시되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자료와 새로운 분석모형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주민의 거주지 특성에 따라 신체활동 참여의 특성과 개인의 건강상태를 복합적으로 다루어 개인이 살고 있는 주거지의 특성이 신체활동의 참여와 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서울시 176개 행정동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년~2012년까지의 누적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모형에 포함된 변수는 크게 개인 및 가구 특성 그리고 거주지의 물리적 환경 특성 변수로 나눌 수 있다. 물리적 환경 특성은 밀도, 주택유형, 토지이용, 접근성, 시설특성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방법론으로는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 특성상 위계구조임을 감안하여 다층회귀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과 가구특성은 기본적으로 신체활동 참여와 건강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특성에서 밀도유형은 고강도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토지이용유형의 상업시설과 공원유형은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본 거주주택유형과 주택유형별 토지이용밀도는 건강수준과 관련성이 드러났다. 토지이용 혼합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사람은 비만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혼합용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접근성 유형에서는 근린공원과 체육시설의 접근성이 좋은 곳에 사는 사람일수록 보행활동에 더욱 오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원의 효용성과 체육시설로 대변되는 시설의 입지측면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 외, 시설특성의 운동장의 대리 변수로 사용된 학교 수는 보행활동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전거 도로 연장이 긴 지역에 사는 사람은 비만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용 가능한 시설의 존재가 신체활동 및 건강과 매우 밀접한 관계임을 확인하였다.통계분석과정을 포함한 전반적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물리적 환경특성과 개인의 건강수준을 연결할 중요한 매개변수인 개인의 신체활동 참여는 물리적인 환경의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수준의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중 하나인 지역특성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 영향력은 간접적이기 때문에 지역 간 차이가 무조건적으로 있다고 신뢰하기는 어렵다 할 수 있다. 더불어 개인의 심리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 부분을 확인하지 않고 물리적 환경, 동단위 분석에서 개인의 신체활동 참여와 건강수준에 영향력이 있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176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주거지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개인의 신체활동 참여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변수의 세분화와 신체활동 및 건강지표를 다변화 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이전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새로운 연구모형의 정립을 통해 실증적인 분석이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URI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7f0d85de38aa6e0ffe0bdc3ef48d419#redirecthttp://hdl.handle.net/20.500.11754/5849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