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7 0

한국춤의 오브제 활용연구-「동해안 별신굿」과 「Soul, 해바라기」를 중심으로-

Title
한국춤의 오브제 활용연구-「동해안 별신굿」과 「Soul, 해바라기」를 중심으로-
Author
김운미
Keywords
오브제; 한국춤; 동해안별신굿; 소울해바라기; object; Korean Dance; The East coast Byulshin gut; Soul Sunflower
Issue Date
2014-05
Publisher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Citation
우리춤과 과학기술, v. 10, NO 2, Page. 51-74
Abstract
무용이란 인간의 신체로 표현하는 예술이며, 그 표현의 극대화를 위해 본질요소 외의 다양한 요소와 장르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여러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20세기 이후 ‘오브제(object)’는 표현 요소로 부각되었고, 예술가의 의도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로 발전하였다. 즉, 오브제는 장르간의 다양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삶과 예술의 간격을 허물어 총체적 예술작품의 촉매제 역할을 한 것이다. 오브제의 역할과 기능은 춤에서 상징적 오브제와 기능적 오브제로 나눌 수 있다. 상징적 오브제는 작품의 주제, 줄거리를 전달하는 의미전달자의 역할을 말한다. 기능적 오브제는 미학적 도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오브제를 통하여 창출된 공간에 장소성과 의미를 부여하여 작품의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시각화로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한국춤에서 오브제의 활용을 통해 그 기능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한국 전통춤이자 전통 민중예술인 「동해안 별신굿」은 각 굿거리마다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하면서 그 오브제가 지닌 상징성을 통해 거리 내용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의미전달자로서의 ‘상징적 오브제’로 활용되어졌다. 또한 상징적인 역할과 함께 신을 기쁘게 하는 목적으로 화려하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미적인 도구로서 ‘기능적 오브제’의 시각적 활용도 파악 할 수 있다. 한국 창작춤이자 공연예술인 「Soul, 해바라기」의 오브제는 굿의 무구(巫具)와 전통춤의 무구(舞具)를 활용함으로서 작품에서 한국적 색채와 정서를 뚜렷하게 전달하고 있다. 굿에서 부정을 막고 정화하려는 것,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것, 망자를 평안히 보내는 의도를 상징하고 있다. 이러한 ‘상징적 오브제’는 전통적 의미를 더욱 제고시켜준다. ‘설치미술’이라는 타장르를 통해 공간을 나누어 상징적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새로운 공간창출과 평면무대를 입체적으로 시각화하는 ‘기능적 오브제’의 역할을하였다. 「Soul, 해바라기」는 전통적 주제를 한국 춤사위와 현대적 감각 그리고 굿의 오브제를 적극 활용시킴으로서 한국의 대표 문화상품으로 거듭난다. 두 작품은 ‘굿’이라는 하나의 소재로 전통춤과 창작춤이라는 한국춤의 두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통춤의 오브제는 사회에서 통용되는 민중적 의미를 담고 있어 ‘상징적 오브제’로서의 기능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전통적 오브제가 창작화․현대화됨에 따라 그 전통을 기반으로 변용이 가미되어 공연발달의 진보를 이룬다. 이를 통해 창작춤에서의 오브제는 작품의 주제와 줄거리의 암시, 분위기 연출 등의 기능을 하는 ‘상징적 오브제’의 역할과 함께 설치미술, 영상, 조명 등의 오브제를 통한 시각적이고 장치적인 효과를 주어 새로운 공간 창출과 무용수들의 움직임에도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기능적 오브제’의 역할로서의 활용이 되었다. 따라서 한국춤에서의 오브제는 표현 언어의 하나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해 주고, 작품의 의미전달자의 역할과 함께 표현의 확장을 가능케 하여 새롭고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공연에서의 오브제는 일상적 대상의 가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며, 그로 인해 관객은 풍부한 상상력의 세계로 유도 된다.
UR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26713http://hdl.handle.net/20.500.11754/5533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S](예술·체육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