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4 0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동향 분석

Title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Formation History of Central Asian Street in Junggu, Seoul
Author
엄구호
Keywords
광희동; 중앙아시아거리; 몽골타워; 다문화; Gwanghee-dong; Central Asian Street; Mongol tower; Voluntary Segregation; Multiple Cultures
Issue Date
2012-06
Publisher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Citation
서울학연구(The Journal of Seoul Studies),Vol.- No.68 [2017],p35-70(36쪽)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중구 광희동 중앙아시아거리를 대상으로 발생 현황과 성장을 통해 향후 외국인 밀집지역의 성장에 대비한 시사점을 도출해보았다. 조사 방법으로는 건축물 용도변화 자료 분석과 관련 인물들을 인터뷰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중앙아시아거리의 형성과정은 전형적 도심의 전이지역 단계(80년대, 1단계), 러시아 상인을 중심으로 한 거리형성 단계(90년대, 2단계), 몽골 및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인을 중심의 거리 형성 단계(2000년대, 3단계), 그리고 중앙아시아 식당거리로 성업 중인 단계(2010년대, 4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외국인의 공간 점유와 언어 및 문화는 상당한 관계가 있으며, C. Nightingale의 ‘자발적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다. 연구대상지인 광희동의 경우 1990년대 러시아 상인의 상업적 목적에 의하여 점유되었던 공간이 탁송회사인 카고와 러시아 식당뿐만 키릴문자가 러시아 상인이 나가고 난 빈 자리를 몽골인이 들어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몽골인의 국민적 정서와 공간 점유형태는 상당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에 의하면 몽골인이 뉴-금호타워에 집중적으로 모이는 것은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고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국민적 정서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여러 건물에 흩어져 있는 것 보다 하나의 건물에 집중되는 방식이 서로 소통하고 서로를 알고 지내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외국에서 동질의 커뮤니티 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 간다고 해석할 수 있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ea called Central Asian street located in Gwangheeding, Jung-gu, Seoul. Interviews and building data analysis were applied as a research methods. And three conclusions were identified. Firstly, four stages were founded as a formation history of site; Civic Transition Area(80’s, 1st stage), Street of Russian Merchants(90’s, 2nd stage), Street of Central Asian Merchants and Residents(2000’s, 3rd stage), and Restaurants Street of Central Asian(2010’s, 4th stage). Secondly, foreigners’ spatial selection was related to the language and friendly culture. C.H. Nightingale’s Voluntary Segregation phenomenon was observed. Russian merchants occupied the site in 90’s. After they went out, Mongolian and Uzbekistan people came here owing to the language and friendly culture of former Russian occupation site. Thirdl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people was related to national sentiment. Mongolian concentrated on the New-Kumho tower called Mongol tower according to the interviews. Generally, Mongolian people loves to talk each other and to get together. This national sentiment affected on the formation of Mongol Tower.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235208http://hdl.handle.net/20.500.11754/55133
ISSN
1225-746X
DOI
10.17647/jss.2017.08.68.35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