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2 0

학업자아개념에 대한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itle
학업자아개념에 대한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uthor
김병수
Keywords
학업자아개념; 수준별 이동 수업; 사회자본; 엔트로피 매칭; academic self-concept; ability grouping; social capital; entropy matching
Issue Date
2013-06
Publisher
한국교육사회학회
Citation
교육사회학연구, 2013, 23(2), P.121-149
Abstract
본 연구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과 동시 에, 사회자본이 이것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한 경로분 석과 실제 하급반 이동수업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이 를 통해 수준별 이동수업경험이 전반적으로 상급반 학생들의 학업자아개념을 높여주지만, 하급반 학생들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각 사회자본별 로 매개효과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와의 관계는 상급반 학생들의 경우에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 하 급반의 경우에는 학업자아개념에 대한 수준별 이동수업의 부정적 효과를 약화시켜주었다. 이것은 하급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정에서 교사와의 관계 개선이 강조된 것과 도 일치한다. 한편, 수준별 이동수업은 상급반과 하급반 모두에 있어서 또래와의 관계에 부 정적 영향을 주어 학생들의 학업자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와의 관 계는 상급반에서는 학업자아개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나, 하급반의 경우에는 과목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3가지 사회자본들을 동시에 고려했을 때, 이것 들은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들을 상쇄시킬 만 큼의 효과를 미치지 못하였다.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and also examine whether or not social capital can mediate the positive and/or negative effects from the ability grouping-based education. To do so, this research employs path analyses using the 3rd wave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in lower-level class. One major finding is that there is generally positive effect of ability grouping for students in upper-level class while it is more likely to be negative for those in lower-level clas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ree types of social capital-students' relations with teachers, peers, and parents. As for the students' relations with teachers, they tend to diminish the positiv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the academic self-concept for the students in upper-level class while they contribute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ability grouping for those in lower-level class. This finding was also supported by in-depth interview done for those in lower-level class. However, ability grouping negatively affects the academic self-concept for both groups by worsening the peer-relations. Finally, the relations with parents have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concept for those in the upper-level class, but for those in the lower-level class, they have varying effects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class. Also, considering all types of social capital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clear effect of social capital on academic self-concept in counteracting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i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614078http://hdl.handle.net/20.500.11754/54665
ISSN
1229-344X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SOCIOLOGY(사회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