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 0

분당 신도시 단독주택지 가로위계별 전면공간이용특성 실증분석

Title
분당 신도시 단독주택지 가로위계별 전면공간이용특성 실증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of the Front Area of Buildings by Street’s Hierarchy in Bundang New Town Detached Housing Area
Author
박진아
Keywords
가로환경; 건물 저층용도; 용도관리; 분당; 주거지 상업용도복합; Street Environment; Building Uses; Building Use Management; Bundang; Over-mixed Commercial Use in Residential Area
Issue Date
2013-12
Publisher
한국도시행정학회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Citation
도시행정학보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Dec 2013, 26(4), P.335-359
Abstract
본 연구는 신도시 단독주택지를 보행친화적인 가로환경으로 개선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그에 선행되어야할 현황실태의 분석적 이해를 도모하고 그로써 실질적인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계획된 신도시의 가로체계를 바탕으로 현재 제기되고 있는 문제의 핵심사항인 심각하게 혼재된 상업용도, 그리고 주거지 가로환경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인 필지 전면공간이용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도시 설계지침을 통한 필지별 개발과 그에 따라 좌우되는 건물과 가로공간의 전이적 경계영역 조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며,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된 영향관계를 통해 지구단위계획의 개선에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급속한 개발과 상업혼재에 의한 심각한 문제가 예상되면서도, 비교적 높은 대표성을 가질 수 있고 통계적 분석에 필요한 적정 수 이상의 필지를 가진 분당의 단독주택지 C22블록을 사례지로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변수화한 세 가지 분석요소를 기술통계량 및 교차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명목변수간의 관계성 및 변수항목별 구체적인 인과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세 가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의한 세부적 경향치를 바탕으로 결론적으로는 가로위계에 따른 용도관리의 방향, 저층용도에 따른 전면공간이용 관리의 가능성, 그리고 가로위계별 전면공간의 이용과 주차문제의 관리 방향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의 상업용도 혼재를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던 기존의 시각에서 나아가, 조화로운 혼재를 염두에 둔 가로환경의 관리방향을 구체적인 분석적 근거와 함께 제안하고 있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This paper aims to provide analytical understanding on street environment in detached housing area within new town in order to improve present street condition into pedestrian-friendly streetscape. During the present research, the mutual relationship among three factors - street structure, building uses and use of the front space of buildings ?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round floor usage & front space usage> street levels & ground floor usage> street levels & front space usage had high correlation, respectively. In order to explain the influence of other various conditions regarding road adjacency, lots located at corners, lots outside residential districts, neighborhood commercial lot, and adjacency to pedestrian walks were chosen as variables as well. In addition, landscape architecture of front space and illegal road usage conditions were also brought in as comfort factor variables to explain relations with front space usage.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343513http://hdl.handle.net/20.500.11754/54625
ISSN
1598-868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