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4 0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 분석

Title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 분석
Other Titles
Purchasing Behavior Analysis of Wine Consumers Using the Count Data Model
Author
한상린
Keywords
와인 소비자; 계획행동이론; 와인구매; 구매행동; 가산자료모형; 절단된 포아송모형; 절단된 음이항모형Wine Consumers; Low-Middle Priced Wines; Purchasing Behavior; Count Data Model; Truncated Poisson Model;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Issue Date
2013-06
Publisher
한국상품학회
Citation
상품학연구, 2013, 31(3), P.23-36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저가 와인을 대상으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연구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속변수인 구매횟수(지난 6개월간 와인 구매 횟수, 지난 1년간 와인 구매 횟수)의 자료특성에 따라 적절한 모형으로 절단된 포아송(TPOIS)모형과 절단된 음이항(TNB)모형을 설정하고, 구매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분석 및 연구 결과: 모형 추정결과, 총 4개 모형 간 추정된 계수값은 아주 큰 차이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종속변수를 '지난 6개월간 와인 구매횟수'로 선정한 TPOIS모형, TNB모형의 설명변수가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론적으로 더 타당한 모형인 TNB모형을 중심으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 중에서는 결혼여부, 직업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는데 미혼일수록, 직업이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중저가 와인 구매횟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심리적 특성으로는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감이 중저가 와인 구매 횟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관련 특성인 사전지식, 그리고 즐거움 동기가 중저가 와인 구매횟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경영관리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토의하였다.||||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이 연구결과는 와인 소비자의 의사결정, 구매행동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이해를 도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설명변수, 연구모델을 더욱 확장했다는 것에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중저가 와인만을 대상으로 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향후 연구방향: 향후에는 더욱 다양한 가격대의 와인과 다양한 종류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와인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공헌점: 이 연구는 중저가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만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모델로 구매횟수(6개월, 1년)에 따른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특히 다양한 가격대의 와인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중저가 와인 구매행동만을 분석하여 와인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urchasing behavior of wine consumers using the count data model.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the Truncated Poisson(TPOIS) Model and Truncated Negative Binomial(TNB) Model were us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zero-truncated count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ine purchasing behavior, the construc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were also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Furthermore, the time periods of the dependent variable(frequency of purchasing wine) were specified with two categories(past 6 months and one year) because previous studies using the count data model only measured the dependent variable in a single period. Results/fin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NB Model having the dependent variable with 'the frequency of purchasing wine in the past six months' was preferred over other model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single, profession,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of pleasur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wine.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flect the increased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 behavior for wine in Korea. This study may be one of the forerunner studies that describe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 behavior for wine by applying the count data model. Future work/research: Comparing each segment with different wine consumers by various market characteristics is likely to strengthen the current model(TPOIS & TNB). Originality/value: This research framework of the TPOIS & TNB models provides practical insights into the wine industry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academic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642608#http://hdl.handle.net/20.500.11754/54496
ISSN
1226-61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S](경영전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