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영전-
dc.date.accessioned2018-03-30T04:07:35Z-
dc.date.available2018-03-30T04:07:35Z-
dc.date.issued2014-05-
dc.identifier.citation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4, 25(3), P.579-599en_US
dc.identifier.issn1598-9402-
dc.identifier.urihttp://koreascience.or.kr/article/ArticleFullRecord.jsp?cn=DJGHBY_2014_v25n3_579-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국내 보건복지 분야에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한 논문의 현황을 파악하고, 비뚤림 위험평가를 시행함으로써 향후 보건복지 분야에서의 시계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 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논문명, 키워드, 초록에 '시계열 분석'을 포함한 6,543건 문헌 중에서 보건복지 분야 91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논문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시계열 분석 연구는 의학과 보건학관련 학회에서의 활용이 높았고, 요인분석과 추세분석을 주요 분석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세부주제는 국민건강과 의료서비스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고, 분석 기법은 ARIMA 모형, 시계열 회귀모형 순으로 활용되었다. 자료의 대부분은 통계청과 정부기관에서 생산하는 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문헌의 비뚤림 평가 결과, 상당수의 논문들이 표본수가 부족한 자료를 이용하거나, 시계열 도표와 플롯 작성을 간과하였다. 보건복지 영역에서 시계열 분석의 활용이 늘고 있고 향후 이용 가능성도 커지고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분석 과정과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분석 절차와 기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주요 항목을 간과한 논문들이 일부 확인되었다. 향후 시계열 분석의 적극적인 활용뿐만 아니라 통계적 방법과 절차를 준수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and risk of bias of research using time series analysis on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health and welfare research. The database searches identified 6,543 papers. Following the process for screening and selecting, a total of 91 paper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using time series analysis from 1987 to 2013. Time series analysis was applied in medicine and health science journals. The main goals were explanation and description. Most of the subjects were heath status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The main model used in the time series analysis was ARIMA followed by time series regress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government agencies. For assessing risk of bias, some studies were found to have inadequate sample sizes or showed no time series graphs and plots. These findings suggest greater widespread utilization of time series analysis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and to use the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and statistical procedures to obtain more reliable result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논문 수행 과정에서 시계열 분석과 관련하여 통계 자문과 조언을 주신 경희대학교 민인식 교수님과 SPSS Korea 강사 이일현 박사님, 그리고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에 도움을 주신 한국보건의료연구원신상진 연구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윤희 연구원께 감사드립니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en_US
dc.subject보건복지en_US
dc.subject시계열 분석en_US
dc.subject체계적 문헌고찰en_US
dc.subjectHealth and welfareen_US
dc.subjectsystematic reviewen_US
dc.subjecttime series analysisen_US
dc.title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보건복지 분양의 시계열 분석 연구 동향en_US
dc.title.alternative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using time series analysis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25-
dc.identifier.doi10.7465/jkdi.2014.25.3.579-
dc.relation.page579-599-
dc.relation.journal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우경숙-
dc.contributor.googleauthor신영전-
dc.relation.code201400101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MEDICINE[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CINE-
dc.identifier.pidyshi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