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0

조현병 입원 환자의 망상과 환각 :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비교

Title
조현병 입원 환자의 망상과 환각 :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비교
Other Titles
Patterns of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 Comparison between the 1990s and the 2000s
Author
박용천
Keywords
조현병; 환각; 망상; 문화; Schizophrenia; Delusions; Hallucination; Culture
Issue Date
2013-08
Publisher
대한생물정신의학회
Citation
생물정신의학(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 2013, 20(3), P.80-85, 6P.
Abstract
조현병은 환자의 사회적, 직업적 기능 손상을 유발하고 개인의 삶에 여러 어려움을 초래하는 병으로 유병률이 1% 정도 된다.1)2) 그리고 약물유지요법을 지속하지 않으면 쉽게 재발하며, 그럴수록 치료가 더 힘들고 인격의 황폐화, 사회적 관계 철수 등 여러 영역에 기능 저하를 유발한다. 조현병에서 나타나는 가장 핵심적인 증상은 망상과 환각인데, 이 증상들은 보편적으로 거의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지만 그 내용은 환자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표출된다. 이러한 이유는 환자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증상 내용과 표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3)4)Kim5)은 망상형성에 사회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기전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즉, 개인이 이상경험(unusual ex-perience)을 경험한 후에 이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할 때 우선 자신의 내적 자원을 가지고 해석하게 되고, 그것이 안되면 외부의 세계를 투사해서 해석하게 된다. 이렇게 이상경험을 나름대로 해석하는 과정이 망상의 형성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개인의 내적 자원은 생후 경험해온 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고, 외부에 투사해서 얻은 해석도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망상형성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6)망상이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증거는 여러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Murphy 등7)은 세계 멸망의 망상과종교 망상은 기독교나 이슬람 국가에 많은 데 비해 불교나 힌두교 국가에서는 적고, 질투 망상은 종교와 관계없이 아시아 국가에서 많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국내문헌에서도 사회문화적 요인이 망상에 영향을 준다는 증거를 찾을 수 있다. Kim과 Park8)에 의하면 일제시대에는 망했다고 하는 망상이 두드러지고, 광복 후에는 정치인과 관련된 정치적 과대망상이 많았으며, 6.25전쟁 후에는 간첩을 주제로 한 피해망상이 두드러졌고, 70년대 전후에는 대통령, 정보부 등과 관련된 정치적 피해망상이 증가하였다고 하였다.조현병의 환각 또한 망상과 마찬가지로 그 형태나 내용이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알려져 있다. AI-Issa9)는사회문화적 요인이 환각의 정의와 환각이 지각되는 감각기관의 선택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Chung10)에 의하면 여성에서 성적인 내용의 환청이 많았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에서 종교적 내용의 환청이 많으며, 유병기간이 적을수록 원한 및 박해, 정치적 내용이 적은 경향을 보인다고 했다. 환각이문화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이유는 망상형성과정과 마찬가지로 환각도 어떤 대상과 경험에 투사하여 형성되는데 그 과정에서 사회, 문화적 요소가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10) 그리고환각에 대한 그 문화권의 태도도 환각의 형성과정에 영향을준다고 알려졌다.11) 이처럼 조현병의 증상 형성과정에는 사회문화적 요인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12-15) 이러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조현병 환자의 증상을 평가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문화적 배경을 통한 증상의 이해는 이를바탕으로 환자를 면담하고, 추후에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현재까지 문화 정신의학적 관점에서 조현병의 망상이나 환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망상이나 환각의 횡문화적 비교와 장기간의 변화를 본 연구들이 많았고, 비교적 단기간의 변화를 본 연구는 적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망상이나 환각에 대한 사회, 문화적인 관점에서의 연구가 활발하지 않아서 2000년대 시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따라서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단기간의 변화를 비교하고, 조현병의 주 증상인 망상과 환각을 동시에 비교한 이 연구는 사회 변화에 따른 환자의 증상 변화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이 연구는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하여 조현병으로 확진된 환자들의 망상과 환각을 1990년대와 2000년대로나누어 시대별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각 발병 시기에 따른 망상 및 환각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변화 양상에 발병 당시의 시대 문화적 배경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가늠해 보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시대의 흐름 속에서 망상 및 환각 등의 증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알아보려 했다Objectives Research suggests that content of delusion and hallucination in schizophrenia is influenced by culture and social environment. However, few studies investigated chronological change of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within a society. To investigate changes in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of schizophrenia according to time, we compared contents of symptoms between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at two different time frames. Methods All admissions to a psychiatric unit of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with discharge diagnoses of schizophrenia at two different five-year time frames (1996-2000 and 2006-2010) were reviewed. Using a checklist, adapted from the Scale for Assessment of Positive Symptoms, we investigated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of 247 patients (104 in the 1990s and 143 in the 2000s). Results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of patients did not differ at two time frames. In women, however, auditory and somato-tactile hallucinations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the 1990s (p < 0.05). Conclusions Our findings support the literature emphasizing that content and frequency of hallucination may differ according to cultural environment. We speculate that attitude toward sex and defensiveness toward disclosure of symptoms may have contributed to interval difference.
URI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JAKO201302847557284
ISSN
1225-8709; 2005-757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