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1 0

부모의 학업비교행위가 청소년의 자기고양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업스트레스, 학업열등감의 매개효과 및 학업자아개념의 조절효과 검증

Title
부모의 학업비교행위가 청소년의 자기고양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업스트레스, 학업열등감의 매개효과 및 학업자아개념의 조절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on Self-enhancement Motivation in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Inferio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concept
Author
조한익
Keywords
부모의 학업상향비교; 자기고양동기; 학업스트레스; 학업열등감; 학업자아개념; 다집단분석;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self-enhancement motivation academic stress; academic stress; academic inferiority; academic self-concept; multiple group analysis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국상담심리학회
Cita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3, 25(3), P.723~74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학업비교행위와 자기고양동기간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열등감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 여부와 이 모형의 학업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차이를 다집단분석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비교행위와 자기고양동기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열등감이 매개한다는 본 연구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모형에서 부모의 학업비교행위는 병렬적으로 각각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열등감에 정적인 영향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열등감도 병렬적으로 자기고양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부모의 학업비교행위와 자기고양동기간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열등감이 각각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에서 학업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었다. 모형의 거의 모든 경로에서 학업자아개념 하집단보다 상집단의 계수가 보다 낮았다. 학업자아개념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이, 부모의 학업비교행위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열등감에, 학업열등감이 자기고양동기에 미치는 경로에서 이들 간의 미치는 영향력이 낮았다. 하지만 학업스트레스가 자기고양동기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영향력이 높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부모의 학업비교행위가 청소년의 자기고양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제를 규명하여, 교육이나 상담장면에서의 개입방안과 대처방법을 제안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inferiority on the structural association between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and self-enhancement motivation as well as the moderated effects of the academic self-concept on the relation. Major finding in the study was that the hypothesized model was fitted well to the data. In other words, the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positively influenced th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inferiority, respectively and, in turn, the both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inferiorit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nhancement motivation. Additionally, mediational analysis exhibited that the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nhancement motivation through th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inferiority. Finally, the effects in the hypothesized model were different across the levels of the academic self-concept.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369926
ISSN
2005-864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