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5 | 1189년, 요리토모는 왜 야다테(矢立)를 했는가 | 이세연 |
2013-06 | 1900년대 일본인의 조선이주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 최혜주 |
2014-12 | 1910년대 일본인의 조선사정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 최혜주 |
2017-09 | 1920년대의 『朝鮮公論』 사설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 | 최혜주 |
2015-03 | 1950~60년대 '가정의 재건'과 일부일처법률혼의 확산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활동을 중심으로 | 소현숙 |
2015-11 | 1956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설립과 호주제 폐지를 향한 기나긴 여정 | 소현숙 |
2019-05 | 1960~1970년대 초 한국 에큐메니칼 운동과 ‘근대화’와 ‘발전’의 정치 | 김상현 |
2015-12 | 1969년 한글 자판 표준화: 한글 기계화의 분수령 | 김태호 |
2011-06 | 19세기 꿈의 집들 - 유리와 철의 ‘도시건축’에 대한 발터 벤야민의 고찰을 중심으로 | 이창남 |
2014-04 | '법'과 '혈'의 모순적 이중주: 식민지시기 사생아 제도의 실천 그리고 균열들 | 홍양희 |
2014-02 | '일본' 소설과 '한국' 독자의 상상의 공동성 | 심정명 |
2015-06 | '장의'에서 '사회적 기념'으로의 전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학살자 유해 발굴의 역사와 특징 | 노용석 |
2015-08 | Back in the Platonic Shadow: The Anti-Poetics of Memory Play | 이형섭 |
2013-12 | A Brechtian Scene in Modern Irish Drama: Brian Friel’s Dancing at Lughnasa | 이형섭 |
2013-07 | CONSTELLATION AS ASSOCIATION: AFFFECT, THE BODY AND THE COMMUNITY IN WALTER BENJAMIN'S TEXTS FROM 1920-1930 | 이창남 |
2016-12 | A Dangerous Tradition: Chohon Discourses and Population Management in Colonial Korea | 홍양희 |
2014-12 | Friel and the Reinscription of Yeats in the Irish Dramatic Tradition | 이형섭 |
2013-12 | The Ghost-Image on Metropolitan Borders—In Terms of Phantom of the Opera and 19th-Century Metropolis Paris | 이창남 |
2013-09 | In-SULA-rity as Authorial Censorship: Character and Form in Toni Morrison’s Sula | 이형섭 |
2011-06 | “To every life an after-life. To every demon a fairy tale”: The Life and Times of an Irish Policeman in the British Empire in Sebastian Barry’s The Steward of Christendom | 이형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