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 | 아감벤의 “나머지” 개념과 동아시아 공동체론 | 이창남 |
2012-11 | 아감벤의 유머와 메타픽션적 통찰 -“독서가능성의 현재(Das Jetzt der Lesbarkeit)”를 중심으로- | 이창남 |
2017-05 | 아날로그 비디오의 시간, 공간, 관람성-하네케와 고다르 영화에서의 반영성을 중심으로- | 이선주 |
2019-05 |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영화의 벡터와 지형도 연구 -기억의 정치학과 트라우마 치유의 미학성을 중심으로- | 박영은 |
2017-05 |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영화의 벡터와 지형도 연구: 기억의 정치학과 트라우마 치유의 미학성을 중심으로 | 박영은 |
2014-06 | 아시카가 요시카쓰(足利義勝) 요절의 정치구조: 중세 원령연구 서설 | 이세연 |
2011-12 | 안드레이 루블료프 이콘 해석의 패러다임과 신화 창조의 메커니즘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트 사상’과 ‘삼위일체적 형제애’의 예술적 변용을 중심으로- | 박영은 |
2018-12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영화에 반영된 동서양 신비철학과 전일성(全一性) | 박영은 |
2014-12 | 알루미늄이 수생동물에 미치는 독성에 관한 소고 | 박찬진 |
2017-06 | 알리스 기(Alice Guy)의 ‘기술적 작가성’: 고몽(Gaumont) 시기 작품들의 시각적 스타일과사운드 실험을 중심으로 | 이선주 |
2015-12 |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의 자전 영화를 통해 본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의 상흔과 디아스포라의 양상 | 박영은 |
2014-04 | 어린이집 실내⋅외 석면노출 가능성 조사에 관한 연구 | 박화미 |
2011-06 | 에피고넨의 시대,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묻는다 | 윤해동 |
2014-04 |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몸의 ‘미결정성’과 과학 연구에의 개입 | 정연보 |
2015-06 | 역사적 실존 인물을 다룬 해방기 한국영화 연구 | 함충범 |
2018-12 | 연방 내 지역 분쟁과 선교전략의 상관관계 : 러시아연방 다게스탄공화국을 중심으로 | 정세진 |
2016-12 | 열전의 종막과 냉전의 서막 : 휴전회담에 대한 최초의 역사학적 접근 김보영, 『전쟁과 휴전』(한양대출판부, 2016.8.) | 김선호 |
2016-02 | 영국 극우정당 성장의 사회문화적 요인: 2014 영국독립당(UK Independence Party)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새미 |
2017-06 | 영국 문화정책에서 나타난다양성(diversity)과우수성(excellence)의 문제 | 김새미 |
2015-05 | 영국의 문화융성정책에 내재된 문화정체성의 비판적 소고 | 최은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