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 | 유라시아 국가의 체제전환 불황과 경제성장 회복에 대한 연구 | 김영진 |
2019-11 | 유라시아 문화지형도 내 한민족예술의 다문화적 접변 양상 고찰 -공연예술사를 통해 본 '홍범도 장군' 콘텐츠의 OSMU 방식을 중심으로- | 박영은 |
2020-08 | 유라시아 문화지형도 내 한민족예술의 다문화적 접변 양상 고찰: ‘홍범도 장군’ 콘텐츠의 OSMU 방식을 중심으로 | 박영은 |
2016-12 | 유라시아 지역통합의 동학: 유라시아 지역주의 對 서구지향 지역주의 | 김영진 |
2014-12 | 유라시아경제연합(EEU)과 EU: 정체성 대립의 새로운 전선 | 강봉구 |
2019-08 |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실크로드경제벨트의 연결 가능성-경제협력의 기회와 장애- | 김영진 |
2014-09 | 유라시아연합과 EU | 강봉구 |
2019-03 | 유라시아의 비서구 지역통합 프로젝트: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 일대일로(BRI) | 김영진 |
2015-05 | 유라시아의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유라시아경제연합(EEU)를 중심으로 | 김영진 |
2014-10 | 유라시아의 지역통합 : 유라시아연합 구상의 조건과 과제 | 김영진 |
2016-02 | 유럽 문화도시 환경조성에서 나타난 국제문화교류 거버넌스 연구: 2008 리버풀 유럽문화수도(European Capital of Culture: ECoC) 사례 | 김새미 |
2019-09 |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에서 매도인의 조기 인도 및 초과 인도 | 이도국 |
2016-06 | 유럽의회 권한강화의 정치사적 고찰: 한스 풀라 보고서(1963)의 기여 | 심성은 |
2011-05 | 은닉된 논쟁: 고골의 「외투」와 체홉의 「관리의 죽음」의 비교 분석 | 오원교 |
2017-06 | 의사-환자 관계에서 '환자가 의사를 신뢰단다'의 의미고찰 | 김민정 |
2014-08 | 이념의 제국으로 소련 이해하기 | 강봉구 |
2014-11 | 이동성, 장소, 문화: 미디어공간으로서 서울의 정체성 | 김수철 |
2018-09 | 이선근의 삶의 궤적과 시대 담론, 그리고 역사 인식-1950년대를 중심으로 | 함충범 |
2019-08 | 이재민 임시주거 지원 법제에 관한 고찰- 일본 법제와의 비교 및 독일의 보장국가론 적용을 중심으로 - | 황지혜 |
2012-05 | 이중언어 글쓰기와 트랜스내셔널 리터러시 | 이창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