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 | 식민지 시기 재조일본인의 출판활동과 조선인식 | 최혜주 |
2019-08 | 식민지 조선영화 속 ‘대동아공영’의 표상 : ˂그대와 나˃(1941)에서의 ‘내선일체’ 양상을 통해 | 함충범 |
2018-12 | 식민지 조선영화 속 실존 인물의 표상: 1940년대 초 상영된 현존 극영화를 중심으로 | 함충범 |
2014-04 | 식민지 조선의 뉴스영화 ˂조선시보˃에 관한 연구 | 함충범 |
2015-04 | 식민지 초기 교육 담론과 ‘동화주의’-차별교육과 ‘차이’의 정치학 | 홍양희 |
2020-03 | 식민지기 유교 고등교육과 명륜전문학교 | 윤해동 |
2013-08 | 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쿠도(工藤武城)의 “婦人科學”적 지식을 중심으로 | 홍양희 |
2016-03 | 식민지시기 칼라영화 상영에 관한 연구: 키네마칼라와 조선영화산업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상언 |
2012-09 | 신생공화국의 국가 건설과 문화 요소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타지키스탄의 예를 중심으로 | 정세진 |
2016-09 | 신생정당과 정당체제 변화 : 독일 해적당과 녹색당 | 신두철 |
2019-06 | 신지역주의 관점에서 본 EU-동아시아 문화교류 연구: ECoC와 CCEA 교류 가능성을 중심으로 | 김새미 |
2015-11 | 아감벤의 “나머지” 개념과 동아시아 공동체론 | 이창남 |
2012-11 | 아감벤의 유머와 메타픽션적 통찰 -“독서가능성의 현재(Das Jetzt der Lesbarkeit)”를 중심으로- | 이창남 |
2017-05 | 아날로그 비디오의 시간, 공간, 관람성-하네케와 고다르 영화에서의 반영성을 중심으로- | 이선주 |
2020-06 | 아녜스 바르다의 21세기 작품에서의 씨네크뤼튀르와 상호미디어성 | 이선주 |
2019-08 | 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한 학교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초점집단 면접연구를 중심으로 | 명준희 |
2019-05 |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영화의 벡터와 지형도 연구 -기억의 정치학과 트라우마 치유의 미학성을 중심으로- | 박영은 |
2017-05 |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영화의 벡터와 지형도 연구: 기억의 정치학과 트라우마 치유의 미학성을 중심으로 | 박영은 |
2014-06 | 아시카가 요시카쓰(足利義勝) 요절의 정치구조: 중세 원령연구 서설 | 이세연 |
2011-12 | 안드레이 루블료프 이콘 해석의 패러다임과 신화 창조의 메커니즘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트 사상’과 ‘삼위일체적 형제애’의 예술적 변용을 중심으로- | 박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