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 | A python script for longitudinally measuring the duration of vacant land uses | 김건우 |
2019-12 | 도시 화훼장식물의 유형별 선호도 분석 - 고양 꽃 박람회장 주변 지역 주민 대상 - | 김건우 |
2019-12 | 도시 거점녹지유형의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고찰 -ASLA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김건우 |
2019-12 | 공공의 매입임대주택이 취약계층 밀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구자훈 |
2019-12 |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alysis of Participan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echnique (NetMiner): Focused on the Urban Regeneration Leading Area in Suncheon-City | 구자훈 |
2019-12 | 도시재생사업 주요 참여주체 변화에 따른 연결중심성 변화 특성 분석: 순천시 원도심을 중심으로 | 구자훈 |
2019-12 | 친환경 아파트의 주거가치와 주거자부심 및 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 이명훈 |
2019-12 | Correlation between Urban Forest and Satellite-borne Imagery-based Ambient Particulate Matter across Seoul, South Korea | 이상훈 |
2019-12 | 대도시 고가아파트 주거만족과 추천의도에 대한 영향 분석 - 서울과 부산을 중심으로 - | 이명훈 |
2019-11 | A land-use mix allocation model considering adjacency, intensity, and proximity | 이명훈 |
2019-12 | What Is the Critical Factor and Relationship of Urban Regeneration in a Historic District?: A Case of the Nanluoguxiang Area in Beijing, China | 구자훈 |
2019-11 | Factors underlying vehicle ownership reduction among carsharing users: A repeated cross-sectional analysis | 고준호 |
2019-08 | From Commodities to Community Engagement: Localities and Urban Development in Seoul, Korea | Blaz Kriznik |
2019-10 | 디지털 사회혁신관점의 스마트도시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구자훈 |
2019-10 | Factors associated with commuter satisfaction across travel time ranges | 고준호 |
2019-09 | 가계부채 연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변수 중요도를 이용하여 - | 이명훈 |
2019-09 | 서울시 취약계층 밀집지역 분포와 주거지 특성 분석 : 민간임대주택 거주 기초생활수급자를 중심으로 | 구자훈 |
2019-08 | 도심산업 집적지의 도시재생 및 산업지원 측면의 통합적 평가항목 및 가중치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수동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 구자훈 |
2019-08 |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Jangwi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 이명훈 |
2019-08 |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에 대한 고령거주자의 근린활동 영향관계 연구 - 연남동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 | 구자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