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 | 생명 문화 정립을 위한 시론적 모색 | 이재복 |
2010-12 | 고은의 시와 선적(禪的) 감각 | 이재복 |
2012-11 | 황순원과 김동리 비교 연구- 「움직이는 성」과 「무녀도」의 샤머니즘 사상과 근대성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22-12 | 이병휴의 서(恕) 개념 연구 - 성호학파의 해석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 이재복 |
2010-03 | 문화체험과 에스노그래피의 정치학: 식민지 시대 서구지역 기행문 연구 | 차혜영 |
2013-10 | 1930년대~1940년대 ‘식민지 이중언어문학 장’ 국가와 시장을 둘러싼 언어선택과 문학제도의 재편에 관한 고찰 | 차혜영 |
2014-08 |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의 표상의 정치학, 개벽사 『별건곤』의 ‘조선의 자랑’호 연구 | 차혜영 |
2016-11 | 식민지시대 소비에트총영사관 통역 김동한의 「로서아 방랑기」연구 | 차혜영 |
2005-06 | 90년대 민족문학론과 신세대 문학론 | 이재복 |
2005-06 | ‘그늘’이 동쪽으로 온 까닭은? | 이재복 |
2005-08 | 전환기로서의 90년대와 새로운 비평가치의 모색 -탈근대주의 비평 담론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06-12 | 90년대 이후 나타난 한국문학 담론의 변화와 그 전개 양상에 대한 일고찰- 문학 위기론과 그 대안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06-12 | 한국 현대시의 가족 로망스 연구 | 이재복 |
2007-12 | 한국 현대시와 숭고― 이육사와 윤동주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08-12 | 한국 현대시와 데카당스 | 이재복 |
2009-08 | 한국 현대시와 선(禪) | 이재복 |
2010-04 | 한용운 시 <알 수 없어요>에 대한 일고찰 - 구조와 의미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11-08 | 한국 현대시의 숭고성에 대한 연구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11-08 | 가람 이병기의 「時調는 革新하자」에 나타난 현대성의 의미 | 이재복 |
2012-02 | 추(醜)의 미학과 새로운 문학의 지형도 -감각과 상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재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