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8 0

초등학교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Elements for the Improvements of Elementary school Interior Environment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Opened after 2005-
Author
신경주
Keywords
초등학교; 실내환경; 평가요소; Elementary School; Interior Environment; Evaluation Elements
Issue Date
2013-12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3, 26, P.267-279, 13P.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초등학교의 실내 환경은 학생들의 흥미나 용구를 만족시키고, 장애우를 포함한 전 학교 구성원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실내 환경의 개선을 위한 평가기준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실내 환경의 평가를 위한 기준의 마련을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관련법규 지침 및 선행연구 등의 분석을 토대로 각공간과 시설에 대한 평가표를 마련하였다. 완성된 평가표로 실측조사를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쾌적한 초등학교의 실내 환경을 도모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개발된 평가표의 세부평가항목은 교수학습영역의 73항목, 지원영역의 항목이 32개였다. 그밖에 생활영역은 119개 항목, 공통영역은 75개 항목으로, 총 29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영역별 평가표의 내용은 <표 4>부터 <표13>과 같다. 향후에는 심미성 측면의 개선을 위한 평가항목과 함께 이용자 시점에서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를 파악하는 조사도 함께 시행되어 종합적인 개선사항을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Background and Purpose)Elementary school facilities should be spaces that are dedicated to satisfying the interests and desires of students. On top of that, all school member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enjoy a safe and clean environment. Thus, there is a need for an elementary school interior checklist that would promote unity among the school’s community and propel it in the direction of learning and an overall life educ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ssesses the interior environments of elementary schools. A checklist was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regulatory guidelines and previous studies. The checklist was designed to assess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and analyze problems based on this assessment. (Result)The checklist was broadly categorized into teaching and learning areas, life areas, support areas, and common areas. The teaching and learning areas of the checklist comprised 73items, support areas 32 items, life areas 119 items, and common areas 75 items, with a total of 299 items. The results are displayed in Table 3 through Table 12.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overall synthetic improvements by creating assessment items concerning aesthetic aspects and by conducting research to assess user satisfaction and desire concerning interior design.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91816http://hdl.handle.net/20.500.11754/52530
ISSN
1976-440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