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5 0

박물관 교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선을 위한 어포던스 이론 적용 인터페이스 연구

Title
박물관 교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선을 위한 어포던스 이론 적용 인터페이스 연구
Author
안미리
Keywords
어포던스; 박물관 교육; 모바일; Affordance; Museum Education; Mobile; HCI
Issue Date
2014-09
Publisher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Citation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Vol. 17 No. 5 (2014) pg. 25, 10 p.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교육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원활한 사용과 행동유도성을 위해 Norman(1998)이 제시한 물리적, 인지적 어포던스로 나눠 어포던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박물관에 G과학관 교육 모바일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관찰 및 면담, 생각 소리내어 말하기 프로토콜을 통해 어포던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 모바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어포던스 문제점을 살펴보고 실질적인 개선을 통해 학습자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정보를 지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학습자가 낯선 박물관 모바일 환경에서도 학습자가 바로 적절한 행동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박물관 콘텐츠를 직접 조작하고 상호작용하는 학습 체험을 경험하여 탐구적 활동을 촉발하고 의미 있는 학습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mprove obstacles related with physical affordance and cognitive affordance by adopting Norman's theory for affordance of mobile application of museum education. As to conduct the study, I have selected the mobile device application of G museum for the need of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and have applied think aloud protocol to analyse matters of affordance. By this study, learners will be possible to conduct appropriate behavior instantly under the circumstance of unfamiliar museum mobile environment because of sophisticated design to make learners perceive and understand information provided with designed interface based on realistic improvement that will be made by inspecting possible problems of affordance in position of museum education mobile system users. Additionally learners will be able to control contents of museum and to experience interactive learning which motivate exploratory activity to accomplish meaningful learning.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268992http://hdl.handle.net/20.500.11754/52153
ISSN
1598-501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