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 0

CSCL에서 의사결정 유형과 협력적 정보처리지원 수준이 협력성과,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 지지도 및 협력부하에 미치는 영향

Title
CSCL에서 의사결정 유형과 협력적 정보처리지원 수준이 협력성과,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 지지도 및 협력부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ypes of Decision - Making and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on Collaboration Performance, and Social Support and Collaboration Load among Collaborators in CSCL
Author
김동식
Keywords
의사결정유형; 사회적 지지; 협력부하; Types of Decision-Making; Social Support; Collaboration Load; 교육 / Education; 교육학
Issue Date
2014-09
Publisher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 Institute of Educational Technology
Citation
학습과학연구 /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014-12 8:40-59
Abstract
본 연구는 효과적인 협력성과를 위한 정보처리과정을 제안하고 특히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최적의 정보처리 과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협력성과,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 협력부하요인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 111명(남 32명, 여 79명)이었으며, 세 종류의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을 동일 학습내용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사전검사에 의하여 의존적의사결정 집단과 합리적의사결정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에 투입된 협력성과,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 협력부하 요인의 세 종속변수에 대하여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과 의사결정유형에 의한 주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세 종속변수에서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과 협력적정보처리지원 수준에 의한 상호작용은 유의미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협력성과에서 병렬 및 직렬정보처리지원에서는 학습자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혼합정보처리지원에서는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사후검사 결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부하요인 중 과제난이도 지각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었고, 분석결과 단순주효과에 따르면 직렬정보처리지원에 있던 의존적의사결정 집단의 과제난이도 지각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에 대한 분석에서는 직렬정보처리지원의 합리적의사결정 수준인 학습자의 협력구성원 간의 사회적지지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협력구성원 간의 낮은 사회적지지도에 의해 협력성과가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학습 효율성이 낮아질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협력학습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정보처리지원 수준이나 학습자 개인의 의사결정유형과 같은 보다 복잡한 구성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and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on performance and collaborative task performance, social support among collaborators. College students(Male=32, Female=79) participated. Three different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were applied(mixing vs. serial vs. parallel) to two different levels(dependent group vs intuitive group) of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ir pre-test result.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llaboration performance, social support among collaborators and collaboration loa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posttest score for collaboration performance. Students under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decision-making.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decision-making under collabo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Also simple-main effect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of dependent group under parallel processing condition significantly perceived task difficulty among the other condition. For the social support among collaborators, interestingly, participant of dependent group with parallel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support.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possibly detrimental effect of decision-making.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142587http://hdl.handle.net/20.500.11754/52148
ISSN
1976-684X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