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1 0

청소년의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과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Title
청소년의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과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with parenting attitudes, motivations for self-determination and adaptations to school life
Author
조한익
Keywords
부모양육태도; 수치심경향성; 자기결정동기; 죄책감경향성; 학교생활적응; adaptation to school Life; guilt-proneness;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parenting attitude; shame-proneness
Issue Date
2011-04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Citation
청소년학연구, 2011, 18(4), P.29-48 (20)
Abstract
본 연구는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차이에 주목하고자 하였으며, 자의식적 정서에 눈을 뜨게 되는 청소년기의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형성원인에 있어 부모양육태도의 역할에 대해 탐색해 보고,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각각 청소년의 과업인학업과 생활터전인 학교생활, 구체적으로 학습에 대한 자기결정동기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상이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중학생과 고등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남학생은 169명, 여학생은 177명이었다. 연구결과, 거부적 양육태도는 수치심경향성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애정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는 죄책감경향성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치심경향성은 자기결정동기의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성이 낮은 외재적 요인들과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죄책감경향성은 자기결정동기의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성이 높은 내재적 요인들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치심경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유의미하지 않거나 교우관계에서만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죄책감경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차이에 있어 형성원인으로서의 부모양육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했다. 또한 도덕적 정서로서의 죄책감경향성은 애정적 양육태도가 가장 중요하지만, 적절한 거부적 양육태도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기존의 심리적 적응과 문제행동, 관계양상 등에만 집중되어 있던 수치심, 죄책감의 차이 연구를 학습에 관한 자기결정동기라는 긍정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청소년의 과제로 확장시켰고, 청소년이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곳인 학교생활이라는 실제적인 터전에서의 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했다. 이는 청소년의 실제적인 학습동기 함양과 학교생활적응을 도움에 있어서 거부적인 태도로 수치심경향성을 자극하기 보다는 애정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적절한 훈육을 통해 죄책감경향성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hame-proneness and the guilt-prone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shame-proneness and the guilt-proneness were related to parenting attitudes,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participants were 34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169 males and 177 femal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of rejection and the shame-proneness. Also,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of emotional warmth and the guilt-proneness, and the same tendency also existed between parenting attitude of rejection and guilt-proneness. Second, in terms of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hame-proneness and extrinsic motivation. On the contrary,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guilt-proneness and intrinsic motivations. Finally, there were no relations between the shame-pronen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However, a strong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guilt-pronen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661703http://hdl.handle.net/20.500.11754/51706
ISSN
1229-698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