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병로-
dc.date.accessioned2018-03-20T05:28:26Z-
dc.date.available2018-03-20T05:28:26Z-
dc.date.issued2012-04-
dc.identifier.citation대한안과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2, 53(4), P.536-543, 8P.en_US
dc.identifier.issn0378-6471-
dc.identifier.urihttps://synapse.koreamed.org/DOIx.php?id=10.3341/jkos.2012.53.4.536-
dc.description.abstract목적: 새로운 주사레이저검안경의 Retromode를 이용하여 낭포황반부종을 영상화하고 기존의 영상법들과 비교해보려 한다. 대상과 방법: 낭포황반부종 환자 20명 21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안저사진, 형광안저촬영과 주사레이저검안경,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받았다. 주사레이저검안경은 기기내에 내장된 Retromode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결과: 기존의 안저사진은 낭포황반부종 상태를 보기가 어려운 반면 주사레이저검안경의 Retromode는 낭포황반부종을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작은 낭포를 더 잘 보여주었으며 낭포의 면적을 구할 수 있었다. Retromode에서 보이는 가장 넓은 낭포의넓이와 OCT에서 보이는 그 낭포의 높이는 상호 연관성을 보였으며(R=0.606, p=0.004) Retromode에서 보이는 낭포황반부종의 전체넓이와 OCT에서 측정된 황반중심두께는 역시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R=0.493, p=0.023). 결론: 기존의 영상법에 비해 새로운 주사레이저검안경의 Retromode는 낭포황반부종에서 보이는 낭포들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며 낭포황반부종의 범위 및 정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안과학회(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en_US
dc.subjectCystoid macular edemaen_US
dc.subje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en_US
dc.subjectRetro-modeen_US
dc.subjectScanning laser ophthalmoscopeen_US
dc.title주사레이저검안경의 레트로모드를 이용한 낭포황반부종의 영상화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53-
dc.identifier.doi10.3341/jkos.2012.53.4.536-
dc.relation.page536-543-
dc.relation.journal대한안과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원준-
dc.contributor.googleauthor조희윤-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병로-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Won June-
dc.contributor.googleauthorCho, Hee Yoon-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Byung Ro-
dc.relation.code2012216384-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MEDICINE[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CINE-
dc.identifier.pidbrlee-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