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9 0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정서 이해 학습활동 연구-고려속요를 중심으로-

Title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정서 이해 학습활동 연구-고려속요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bout Emotion in the Textbooks of High School Literature
Author
류수열
Keywords
고려속요; 정서; 교수-학습 활동; 내용 학습; 목표 학습; Koryeo-sokyo; Emotion; Teaching-learning Activity; Teaching Material; Content Learning; Target Learning; 교과서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itation
고전문학과 교육, 2012, 24, P.39-66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려속요 작품을 중심으로 정서 이해 학습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문학교육에서 정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단원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의 관계에 관하여 하나의 쟁점을 제기하고자 한다.그 결과 다음과 같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정시가 수록될 경우 정서 관련 학습 활동은 시적 소재와 주제, 배경, 상황, 의지, 자세, 태도, 욕망, 분위기, 어조 등 거의 모든 요소와 연동되어 구성된다는 점. 그리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는 작품의 해석이나 감상을 위한 단서로 활용되곤 한다는 점이다. 또한 특정한 정서를 지칭하는 용어는 활동 지시문에서는 은폐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시적 언어의 함축성을 고려한 결과로 간주할 수 있겠다.정서 관련 학습 활동은 단원 학습 목표와 무관하게 거의 모든 단원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는 시적 화자의 정서가 서정시에서는 본질적이고 항존적인 요소로서, 정서를 파악하는 것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필수적인 과정임을 말해 준다. 그리고 이는 국가 수준의 의도된 교육과정과 교실 수준의 전개된 교육과정을 매개하는 역할을 맡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교과서의 학습 활동은 내용 학습에 이어 목표 학습이 제시되는 구도를 가진다. 그런데 만일 정서가 내용 중에서도 가장 압축적인 실체라면, 이러한 구도는 사리에 어긋난다 하겠다. 단원 학습 목표가 운율에 있든, 이미지에 있든 그것은 궁극적으로 시적 화자의 정서를 좀 더 정치하게, 혹은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단계로 작용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표 학습이 선행되고 내용 학습이 이를 뒤따르는 교수-학습 활동의 구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into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bout emo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 and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emotion in lyric poem. In advance, I will suggest an issue about the relation between goal of unit and teaching-learning activity.The emotion-related teaching-learning activity is involved in almost every elements of lyric poem for instance poetic material, theme, background, situation, will, stance, attitude, desire etc. It is related to mood and tone too. So the emotion of poetic speaker’s is used as the clue to interpretation or appreciation. And the word referring to certain emotion tend to be concealed at instruction sentence. It would be result from the consideration of implication of poetic diction.The emotion-related teaching-learning activity is disposed almost every unit regardless of the goal of unit. It means that the poetic speaker’s emotion is intrinsic element of lyric poem, and it is essential step in teaching-learning process. It is disposed to mediated intended curriculum at nation level and deployed curriculum at classroom level.It is a general convention that ‘content learning’ precede ‘target learning’ in the textbook, and the ‘content learning’ activity deal with poetic speaker’s emotion. But it would be a error under 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emotion in lyric poem. Because every learning activities have to flow to understanding poetic speaker’s emo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content learning’ dealing with poetic speaker’s emotion is preceded by ‘target learning’.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49409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691568
ISSN
1598-7108
DOI
10.17319/cle.2012..24.3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