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8 0

사회적 익명성이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공동체 신뢰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동질성(perceived homophily)과 공감경험(empathy)을 중심으로

Title
사회적 익명성이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공동체 신뢰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동질성(perceived homophily)과 공감경험(empathy)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cial Anonymity on the Perception and Trust of Online Community : The Role of Perceived Homophily and Empathy
Author
손동영
Keywords
사회적 익명성; 인지된 동질성; 공감경험; 커뮤니티 의식; 커뮤니티 신뢰; Social Anonymity; Perceived Homophily; Empathy; Sense of Community; Trust of Community
Issue Date
2014-12
Publisher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Citation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Vol.31 No.4 [2014],189-226(38쪽),
Abstract
익명성은 온라인 환경의 부정적 측면으로 항상 비난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용이하게 하고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익명성의 긍정적 역할은 제대로 조명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환경의 사회적 익명성 정도가 구성원들이 공동체에 대해서 갖는 인식과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사람들 간의 관계를 유지하고 결속력을 높이는 익명성의 긍정적 가능성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한다. 연구결과,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회적 익명성은 구성원의 공동체 동질성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동질성 인지의 강화가 공감경험의 정도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감경험은 커뮤니티에 대한 신뢰에, 인지된 동질성은 커뮤니티 의식에 각각 개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는데, 특히 사회적 익명성은 커뮤니티 신뢰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익명적 환경이 커뮤니티 활성화 및 유지에 갖는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기존의 부정적 측면 일변도의 익명성 논의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Anonymity has always been blamed as the negative characteristic of an online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le its positive function that facilitates individuals’ voluntary communication remains largely overlooked. As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positive aspect of anonymit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anonymity on individuals’ perception of and their trust to the community, and how such effects are formed through the mediation of empathy and perceived homophily. First, social anonym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homophily,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feeling of empathy, Second, the feeling of empathy and perceived homophily did influence respectively individuals’ trust to and sense of the community, Also, social anonym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directly on the trust level of the community. Discussion of the experimental findings and their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followed.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069040http://hdl.handle.net/20.500.11754/49115
ISSN
1598-573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