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3 0

연행로 중 廣寧-山海關 구간의 노정 재구-百戰 벌판의 횡단과 역사 변동의 시각 체험-

Title
연행로 중 廣寧-山海關 구간의 노정 재구-百戰 벌판의 횡단과 역사 변동의 시각 체험-
Other Titles
Reconsideration on the Route between Yanqing and Shanhaiguan i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to Beijing -Traverse of the ancient battlefield and Visual Experience on Historic Change
Author
이승수
Keywords
廣寧城; 寧遠城; 大凌河; 松錦戰役; 古戰場; Guangning Fortress; Ningyuan Fortress; Dalinghe River; 인문 / Liberal Arts; 풍속, 민속학
Issue Date
2014-11
Publisher
한국역사민속학회 /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al-Folklife Studies
Citation
역사민속학 , 2014년, pp.343 - 375
Abstract
廣寧城은 明代 산해관 동쪽 최대의 군사 요새였으며, 조선의 사신들은 예외 없이 성 안에 있던 역참에서 묵었다. 淸나라 건립 후 이 성의 군사적 기능과 행정적 위상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청나라 조정에서는 驛路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1673년 광녕성 남쪽 8km 지점에 새 역참을 세웠는데, 이후 조선 사신들은 광녕성에 들르지 않고 이 역참을 이용하였다. 이 글은 두 지점으로부터 山海關에 이르기까지의 485리(대략 240km)의 노정을 고찰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명청 교체 이후의 기록을 중심으로 이 구간을 지나는 사신들의 반응에 주목하였다. 이 구간에는 명나라에서 축조한 수많은 군사시설들이 포진되어 있었는데, 1621-1644년 사이의 잇단 전투를 통해 차례차례 함락되었다. 청나라 조정은 이 파괴된 군사 시설을 복원하지 않은 채 방치했고, 조선 사신들은 이 퇴락한 대소 城들 사이를 지났다. 퇴락한 성들은 왕조의 교체 사실을 보여주는 조형적 표지였다. 사신들은 이 표지들을 통해 명조의 멸망과 역사의 변동을 시각으로 체험하였다. 이 구간은 역사 변동을 시각으로 체험하고, 나아가 지역의 역사적 성격을 성찰하는 장소였던 것이다. 본고에서 다룬 明淸 전쟁 말고도, 이 구간은 朝鮮과 漢나라가 충돌하던 먼 고대부터 1940년대 공산당과 국민당이 패권을 다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숱한 전쟁이 벌어진 百戰의 戰場이다. 이 글은 노정을 복원하고, 沿路의 풍광과 역사 변동에 대한 사신들의 반응을 검토하여, 이 구간의 역사 문화적 의의를 조명한 보고서이다.Guangning was the largest military fortress on the eastern area of Shanhaiguan during Ming dynasty. The envoys of Joseon always stayed in the posthouse inside a city wall. However, the military function and administrative standing of Guangning were rapidly reduced after the foundation of Qing dynasty. Qing dynasty built the new posthouse about 8km south from Guangning in 1673 for the efficiency of postal route. Since then, the envoys of Joseon used the new route without dropping at Guangning.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oute of about 485 ri(about 240km) from two posthouses to Shanhaiguan. I focused on the responses of envoys using the route around the documents record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Qing dynasty after collapse of Ming dynasty. A number of military facilities were stationed along the new route. The military facilities along new route were taken one by one through several battles between 1621 and 1644. Qing dynasty didn’t restore the destroyed military facilities and the envoys of Joseon passed small and big fortresses dilapidated along the new route. The dilapidated fortresses were the formative symbol indicating the replacement of the dynasty. The envoys visually observed the collapse of Ming dynasty and the historic change through those symbols. The new route was the space to visually experience the historic change and furthermore the historic properties of the region. Besides the Ming and Qing war discussed in this paper, the region was the battlefield for a number of battles from the ancient time when Joseon fought against Han to the modern times in 1940s when the Communist Party and the Nationality Party competed for supremacy in China. This paper traced back the route of envoy to Beijing and examined the responses of envoys of Joseon on the sceneries along the route of envoy and the historic change for highlight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is route.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70571http://hdl.handle.net/20.500.11754/48990
ISSN
1229-892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