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환자의 일상식품군 섭취량에 따른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상관성 분석

Title
혈액투석 환자의 일상식품군 섭취량에 따른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상관성 분석
Author
이창화
Keywords
hemodialysis; hyperphosphatemia; hyperkalemi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Issue Date
2014-03
Publisher
한국영양학회
Citatio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2014년 47권,1호,pp.33-44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한양대학교병원에서 혈액 투석을 시행중인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식품군의 섭취량과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혈액투석 중의 합병증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하였다.1) 본 연구 대상자는 총 48명 (남: 20명, 여: 28명)으로 평균혈청 인 농도는 4.50 ± 1.52 mg/dl, 평균 혈청 칼륨 농도는4.74 ± 0.73 mEq/l였다. 전체 대상자 중 고인산혈증을 보인환자는 45.8%, 고칼륨혈증을 보인 환자는 35.4%였다.2) 식이요법 실천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대상자 중 약물치료만 시행하는 군보다 약물치료에 식이요법을병행하는 군에서 혈청 인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3) 투석기간에 따른 혈청 칼륨 농도는 5년 미만 투석자보다 5년 이상 투석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4) 백미를 섭취한 군이 잡곡을 섭취하는 군보다 혈청 인,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감자와 고구마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범위를넘어섰다.5) 생선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높았으며, 특히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한 군의 경우혈청 칼륨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콩자반과 두유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인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콩자반의 경우 일주일에 1회 이상, 두유의 경우 일주일에 3회 보다많이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인 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6) 채소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고칼륨 채소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청 칼륨농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버섯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일주일에 3회 보다 많이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7) 잡곡과 두유의 섭취는 혈청 인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투석기간, 잡곡, 감자, 생선, 고칼륨 채소의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쌀의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혈액투석 환자들의 식이요법 실천은 혈청 인 농도 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투석기간이 길어질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지속적인 식이요법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일상식품군의섭취와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잡곡의 섭취는혈청 인, 칼륨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백미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잡곡의 섭취를 줄이고 백미를 섭취하는 것이 혈청 인, 칼륨 농도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의 섭취는 혈청 인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자 및 생선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상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이들 식품의 1인 1회 섭취 분량을 하루에 0.5회 이하로 나누어 섭취하되,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한편 고칼륨 채소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른 채소 섭취에 비해 혈청 칼륨농도를 정상범위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아 가급적 섭취를 제한할 것을 권장한다.Purpose: Elevated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are a major problem for hemodialysis (HD) patients. Hyper-phosphatemia and hyperkalemia are closely related to intake of dietary phosphorus and potassiu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consumed on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in 48 HD patients (20 males and 28 females). We collected anthropometric data, biochemical parameters, and dietary data of the subjects. Dietary data for usual intake were obtained by use of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FFQ) consisting of 21 food items. Results: The mean body mass index (BMI) was 22.2 ± 3.0 kg/m2, mean serum phosphorus level was 4.50 ± 1.52 mg/dl, and mean serum potassium level was 4.74 ± 0.73 mEq/l. Hyperphosphatemia (> 4.5 mg/dl) was found in 45.8% of subjects, and hyperkalemia (> 5.0 mEq/l) in 35.4%. Subjects who took medication only were 56% of total, and those who took medication with dietary therapy were 27%. Patients with medication and dietary therapy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phosphorus levels compared to patients with medication only (p < 0.05). Mean duration of HD was 7.9 ± 7.3 years and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rum potassium levels (p < 0.05). Serum phosphorus leve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ake of mixed grains and soybean milk (p < 0.05). Serum potassium leve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ake of mixed grains (p < 0.01), potatoes, fish, and high-potassium vegetables (p < 0.05). On the other hand, intake of white ri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rum potassium levels (p < 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intake of white rice rather than mixed grains is an important factor in sustaining normal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In addition, limiting intake of soybean milk, potatoes, and fish to under three serving per week is recommended. Finally, conduct of a strict dietary therapy along with medical treatment is desirable because inappropriate food intake increases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to a higher than normal range.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3290http://hdl.handle.net/20.500.11754/48712
ISSN
2288-3886; 2288-3959
DOI
10.4163/jnh.2014.47.1.3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