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 0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Title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Author
이창무
Keywords
축소도시; 성장도시; 주택수요; 주택정책; 도시계획; 도시정책; shrinking city; growing city; housing demand; housing policy; urban planning; urban policy
Issue Date
2014-03
Publisher
한국부동산연구원 2014년
Citation
부동산연구,2014년,pp.27 - 37 (11pages)
Abstract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 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increasing the supply of housing policy has not been able to reflect social phenomena as like decreasing birth rat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increasing 1 or 2 person households. This study analyze the housing demand in the city with the point of population growth rate and economic character changes. Growing cities have positive population growth rate and economic character, but shrinking cities have the opposite. By comparing housing demand of growing cities and shrinking cities, we want to find out housing policy implications. I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eak age of housing demand of shrinking cities is the late 60`s. But the growing cities`s age peak is the mid-80`s. But further analysis of the economic variables and 1 or 2 person old and young household dummies, the result is that the peak age of housing demand is reduc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using demand should be differentiated the cities`s population structure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In short, housing demand will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individual citie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61412http://hdl.handle.net/20.500.11754/48550
ISSN
1229-935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