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5 0

초등학교 실내디자인의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안의 제시-2005년 이후 개교한 서울특별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Title
초등학교 실내디자인의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안의 제시-2005년 이후 개교한 서울특별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Author
신경주
Keywords
초등학교; 실내디자인; 사례분석; Elementary School; Interior Design; Case Analysis
Issue Date
2014-03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9, no.1, 통권 27호[2014] pp. 73-84 (12 pages)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사회진출 증가로 각 가정의 평균출산율이 급격히 저하하면서 학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기대감과 초등학교 시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초등학교 시설을 담당하는 교육청의 지침을 보면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지침 없이‘관련 건축법규의 범위에서의 실내디자인의 수준’이라는 기준으로 일관해 오고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실내디자인이 아동에게 적합하게 계획되어 있는지를 실측 조사하고 결과를 고찰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대분류 학습교수영역, 지원영역, 생활영역, 공통영역에서 차별화가 인정된 2공간을 각각 선정하여, 바닥, 벽, 천장의 마감재와 색채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마감재는 일반교실과 도서실을 제외한 공간에서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계획되어 있으며, 벽과 천장은 모두 동일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색채는 과거의 초등학교 보다 다양한 색채가 계획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향후, 관리영역과 옥외시설을 포함한 초등학교 전반으로 조사범위를 확대하여 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increased number of women in education and the work force has led to a dramatic drop in the national birth rate, it has also seen an expansion in parental expectations of children and interest in elementary facilities. However, the educational office’s Elementary Facilities Department has continued its policy of implementing “interior design standards within architectural law but without separate design guidelines for elementary facilities.”(Metho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terior designs of elementary schools are suitable for their students. The analysis of interior design was executed by choosing two distinct areas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areas, support areas, life areas, and common areas, and then focusing on the finishing materials and the colors of the floors, walls, and ceilings. (Results) The results of the interior and overall design analysis, focusing on the finishing materials and the colors of the floors, walls, ceilings, revealed that all of the areas, except the general classrooms and libraries, were constructed in a similar fashion. Unlike previous school painting schemes, the subject schools used various colors for different areas.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nclude managerial areas and external spaces to more fully evaluate the overall condition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64014http://hdl.handle.net/20.500.11754/48066
ISSN
1976-440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