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중진-
dc.date.accessioned2018-03-16T05:49:46Z-
dc.date.available2018-03-16T05:49:46Z-
dc.date.issued2014-04-
dc.identifier.citation진단학보, 2014, 120, P.105-127en_US
dc.identifier.issn1013-4719-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458044-
dc.description.abstract유희의 『物名攷』는 기존의 전통적인 어휘집과는 달리 독특한 거시구조(macro-structure)를 가지고 있다. 책의 체재는 권1과 권2에 『有情類』, 권3과 권4에 『無情類』, 권5에 『不動類』와 『不靜類』의 4가지 대부류로 구성되어 있다. 『物名攷』와 『才物譜』는 무엇보다도 대부류의 의미영역에서 일치하는 바가 없다. 그래서 기존에 알려진 사실과는 달리, 대부류 체재에서『물명고』와 『재물보』는 영향 관계가 없다. 『재물보』의 대부류는 전통적으로 전하는 분류 어휘집들에서 흔히 제시되던 분류법을 따랐다. 그러나 『물명고』는 독창적인 부류 구분법을 보인다. 오늘날 의미론 연구 분야에서 쓰이는 [±animal]과 [±active]의 의미자질(semantic feature) 개념을 구상하여 부류 구분에 활용했다.한편 세부 부류에서부터는 『물명고』와 『재물보』 간의 영향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물명고』의 세부 부류 ‘羽蟲, 毛蟲, ?蟲’ 등이『재물보』에 그대로 나타난다. 물론 영향 관계의 시작은 중국의 『本草綱目』(1596)이다. 특히『물명고』는 세부 부류 전반에서 이와 일치하는 바이고,『재물보』는 세부 부류중에서 특히 地譜와 物譜에서 이와 일치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영향 관계는 미시구조상으로는 더 뚜렷하다.미시구조상 영향 관계는 다음과 같다. 두 책에 모두 수록된 한자어 표제어에서 한글 대응어까지 일치하는 예가 가장 많다. 표제어에 대한 주석의 처리에서는 더더욱 『물명고』에 대한『재물보』의 영향이 컸다. 두 책의 크기와 항목수의 차이에서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듯이, 『재물보』의 주석을 바탕으로『물명고』가 주석을 간략화했다. 그러나 주석 정보의 간략화 경향에도 불구하고 『물명고』가 『재물보』보다 더 상세한 주석을 제공하는 항목도 보인다. 이로써 주석에서 유희의 지식이 덧드러난 경우가 있었다. 아주 드물지만 독자적인 주석 처리 방향도 보인다.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Mulmyeonggo(物名攷) had a distinctive macro-structure in contrasts with any traditional vocabulries. The format of this book was comprised of four styles’ major classes; [+animal], [-animal] and [+active], [-active] chapters. The semantic scope of the major classes that Mulmyeonggo(物名攷) owned doesn’t agree with the semantic scope of Jaemulbo(才物譜). Accordingly, the result clearly shows that Jaemulbo(才物譜) did not influence Mulmyeonggo(物名攷) from the point of the format of major classes. On the orther hand, it is inevitable tha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Mulmyeonggo(物名攷) and Jaemulbo(才物譜) exists in comparison with the format of detail classes. The detail classes as the ‘birds’ class, ‘beasts’ class, ‘reptile’ class appear in the detail classes of Mulmyeonggo(物名攷). Their classes appear in Jaemulbo(才物譜) also. Of course, the origin of this influencing relationship was Bonchogangmok(本草綱目) that had been made in China. It follows from what has been said thus far that the tendency of their influencing relationship is pronounc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lexicography. The problem which we have to consider next is how the lemma and the annotation appear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lexicographical viewpoints. The Sino-Korean lemmas that massed between Mulmyeonggo(物名攷) and Jaemulbo(才物譜) at the same time, were quite a lot. The same thing may be said of the annotational processes. On the orther hand,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 annotational processes of Mulmyeonggo(物名攷) were more simpler than the annotational processes of Jaemulbo(才物譜). Rarely the annotational processes of Mulmyeonggo(物名攷) were more complexer than the annotational processes of Jaemulbo(才物譜). In the pretty rare cases, the annotational processes of Mulmyeonggo(物名攷) were self-deployment.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글은 2013년도 한양대학교 일반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HY-2013-G).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진단학회en_US
dc.subject『物名攷』en_US
dc.subject『才物譜』en_US
dc.subject거시구조en_US
dc.subject미시구조en_US
dc.subject의미자질en_US
dc.subject표제어en_US
dc.subject주석en_US
dc.subject영향 관계en_US
dc.subjectMulmyeonggo(物名攷)en_US
dc.subjectJaemulbo(才物譜)en_US
dc.subjectmacro-structureen_US
dc.subjectmicrostructureen_US
dc.subjectsemantic featureen_US
dc.subjectlemmaen_US
dc.subjectannotationen_US
dc.subjectinfluencing relationshipen_US
dc.title사전학적 관점에서 본 『物名攷』와 『才物譜』의 영향 관계en_US
dc.title.alternativeRemarks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Mulmyeonggo(物名攷) and Jaemulbo(才物譜) from the Standpoint of Lexicograph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20-
dc.relation.volume120-
dc.relation.page105-127-
dc.relation.journal진단학보-
dc.relation.code201400017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ITI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dc.identifier.pidlanguetopia-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