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0 0

한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의 효과 평가

Title
한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의 효과 평가
Other Titles
An Effect Evaluation of Pro-natalist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Author
이석환
Keywords
출산장려정책; 출산장려금; 신생아 건강보험; 정책평가; 패널회귀분석; Pro-natalist Policy; Birth Subsidy; Health Insurance for Newborn Children; Policy Evaluation; Panel Regression Analysis; 지방자치 및 행정
Issue Date
2014-03
Publisher
한국지방자치학회 /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Citation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6권 제1호, 2014.3, 23-51 (29 pages)
Abstract
본 연구는 도입 초기부터 지원기준과 효과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출산율을 종속변수로 하고 출산장려금정책과 신생아 건강보험료 지원정책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설정하였다. 회귀모형은 전국 230개 기초자치단체의 2001년에서 2010년까지의 자료를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초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은 출산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출생순위별로는 첫째와 둘째아이에 대한 출산장려금은 출산율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으나 셋째아이 이상에 대한 출산장려금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첫째아이에 대한 출산장려금의 효과가 둘째아이에 대한 출산장려금의 효과보다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광역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도 출산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출생순위별로는 둘째아이에 대한 출산장려금의 효과가 셋째아이에 대한 출산장려금의 효과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초자치단체의 신생아 건강보험료 지원정책은 출산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출산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은 혼인율, 가임여성 비율, 교육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s‘ pro-natalist policies which, from the beginning, have been controversial about their effects and eligibility criteria. We develope regression models which relate the crude fertility rate to birth subsidies, health insurance for newborn children, and other determinants of the fertility rate. Using a data set of 230 municipalities from 2001 to 2010, we estimate the models by panel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municipal birth subsid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ertility rate. Specifically, municipal birth subsidies for the first child and those for the second child raise the fertility rate and those for the first child have a greater effect than those for the second child. But, municipal birth subsidies for the third or the higher child are found to be ineffective. The results also show that provincial birth subsid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ertility rate and that provincial subsidies for the second child have a greater effect than those for the third child. However, it is found that municipal health insurance for newborn children does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ertility rate. Among fertility rate determinants, marriage rate, the ratio of childbearing-aged women, and education level are found to be most important factors of the fertility rate.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395821http://hdl.handle.net/20.500.11754/47903
ISSN
1226-711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CY SCIENCE[S](정책과학대학) > POLICY STUDIES(정책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