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7 0

수도권 시군구의 자족성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수도권 시군구의 자족성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 of Self-sufficiency in Seoul Metropolitan Area - Supply-side Analysis of the Data between 1995 and 2010 -
Author
김흥순
Keywords
수도권; 자족성; 시계열 분석; 계층분석법; 공간적 자기상관; Seoul Metropolitan Area(SMA); Self-sufficiency; Time-series Analysis; Analytic Hierarchy Process; Spatial Autocorrelation
Issue Date
2014-04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orea Planning Association
Citation
대한국토계획학회지, 2014, 49(2), P.23-39
Abstract
해방 이후 서울은 급격한 외형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그로 인해 주택부족·교통체증·환경오염과 같은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1기 신도시와 같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을 통해, 서울의 집값 안정과 주택난 해소, 수도권 지역에 서울의 인구를 분산시키는 전략을 써왔다.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은 서울의 중심성이 수도권 전역으로 점차 광역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주택난 해결을 당면 목적으로 했던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기에 기반시설의 미 확충과 직주 불균형 등의 문제가 일어났으나, 시간이 경과되면서 분당을 필두로 수도권 대규모 개발지역들의 자족성이 점차 제고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이창무 외, 2001; 김현수, 2005; 이창무 외, 2006; 장준상·이창무, 2006). 자족성이 확보됨에 따라 서울에 한정되어 있던 중심성이 수도권 신도시에서도 점차 나타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시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단순한 수치상의 자족성을 넘어 각종 생활편의시설의 배치 및 이용접근성의 향상을 위한 치밀한 계획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대도시권의 성장에 따른 수도권자족성(경제적·기반시설·생활환경·자연환경 자족성)수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계획 분야의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족성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선정하고, 행정단위의 공간적 자기상관지수를 도출하여 수도권의 자족성 공간패턴이 시계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수도권 관리 및 향후 도시개발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정책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nducted time-series analysis of self-sufficiency to evaluate the growth patter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is study focuses on 65 elementary local authorities in SMA excluding Ongjin.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is from 1995, when the construction of first New Town was completed, to 2000, 2005 and 2010.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precedent studies, this study evaluated self-sufficiency of target areas in the variety of hierarchical levels. Assuming that the significance of each indicator varies, the weight of each indicator was determined by AHP based on surveying some professionals. Consequently, self-sufficiency of economic aspect was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element. Assuming that there is interrelationship between regions,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was completed. Moran’s I was used for global analysis, and Local Moran’s I for local patter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confirmed wha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etropolitan self-sufficiency had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The central area of Seoul showed strong clustering pattern whilst Incheon had weaker one. Also,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clusters has been decreasing with the passage of time. It was evaluated that self-sufficiency and centrality of SMA were dispersed and equalised from Seoul to the adjacent regions.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14286http://hdl.handle.net/20.500.11754/47857
ISSN
1226-714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