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9 0

影壁에 나타난 중국인의 심리표상

Title
影壁에 나타난 중국인의 심리표상
Other Titles
The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of the Chinese People Reflected in Youngbuek
Author
한남수
Keywords
영벽; 사합원; 심리; 표상; 길상; 기; 계층; 질서; Youngbuek; Sahapwon; emotion; symbol; sunlight; Ki; energy; social class; order; 影壁; 吉祥; 氣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Citation
동아시아문화연구, 2014, 56, P.69-98
Abstract
본고는 影壁의 위치와 역할에 주목하고 영벽이 중국인의 심리적 표상으로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 고찰했다. 영벽은 西周시대의 유물로 발견되어 청대까지 황실과 귀족, 사대부, 재력가 등 상층문화를 상징하는 가옥 구조의 일부로 활용되었다. 북방의 건조한 기후의 영향을 받아 두터운 외벽과 높은 담의 가옥 구조를 형성하면서 영벽은 실내와 출입구를 보호하는 병풍으로 불렸다. 대문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영벽은 거주 공간에 들어오는 ‘氣’의 순환과 흐름을 관장하고 집안의 ‘福’을 가져다준다고 믿었다. 영벽에 나타난 다양한 도안은 당대 지배층의 이상과 세계관을 보여주는 기재가 되었다. 영벽 공간 내부는 엄격한 계층적 질서와 음양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동시에 자유로움과 안전을 추구한다. 영벽은 공간의 배치와 구성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기후적 특성과 경관 그리고 채광을 고려한 섬세함을 강조한다. 또 도안에는 여러 색깔, 크기, 時, 吉祥 등으로 지배층의 위엄과 이상을 표현했다. 내부적으로 가족 공간이라는 개인적인 밀실을 외부에 보이기 꺼려하는 심리를 반영하고 있어 영벽은 ‘실내병풍’이라 불릴 만큼 폐쇄성과 기밀성을 띤다. 영벽은 심리적인 보호막과 안전장치를 강조하면서 가족 내의 신분적 서열과 질서의 경계가 되었다. 영벽은 외형적으로 중국인의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특성과 체면을 중시하는 성향을 띠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현실을 낙관적으로 타계하려는 의도와 이상에 대한 담대함을 보여주고 있어 현대에도 여전히 생활공간의 중심에 서 있다. 때문에 영벽은 생활공간의 실용성을 극대화하고 중국인의 심리를 미학적으로 완성시킨 표상이라 하겠다.Focusing on the location and roles of Youngbuek, this paper examined its significance as the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of the Chinese People. It was discovered during Seoju period and had been used as part of housing structures that reflected upper classes such as imperial family, the nobility, and the rich until Cheong Dynasty. Influenced by the dry climate of the northern regions, it was characterized with thick outer walls and tall walls, thus so called ‘a folding screen’ that protected interior space and entrance. As entrance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Youngbuek was believed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Ki (energy)’ and bring luck into a house. The various designs on Youngbuek reflected the ideology and world view of then-ruling classes. The interior space of Youngbuek strictly follows the balance of balance of yin (negative) and yang (positive) and simultaneously pursues freedom and safety. Youngbuek incorporates unity into spatial arrangement and composition and emphasizes delicate consideration of climatic characteristics, landscape and sunlight. In addition, various colors, sizes, poets, and light were used to express the prestige and ideal of the ruling classes in designing it. As Youngbuek reflects their emotional reluctance to expose personal secret room (family space) to the outside, it possesses closure and secrecy, which is apparent enough to be called ‘an inside folding screen’. It became a line that divides social status and order in a family, stressing psychological shield and safety. Although it externally shows a tendency of respecting the closed, conservative and face-saving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people, it also displays their intent and ideal, which is bold enough to try to overcome the reality optimistically. Therefore, it still stands firmly in the middle of their life space. Accordingly, we can say that Youngbuek is the esthetic symbol that culminates the Chinese emotion that wants to maximize the practical use of living space.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5362http://hdl.handle.net/20.500.11754/47744
ISSN
2383-6180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EAST ASIAN CULTURE RESEARCH INSTITUTE(동아시아문화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