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1 0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강생의 학습동기 변화 연구

Title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강생의 학습동기 변화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Changes in Students` Achievement Goals in a Large - Scale General Education Class
Author
신태섭
Keywords
학습동기; 성취목표이론; 교실목표구조; 교양강좌; 3 X 2 성취목표모형; 동기 변화; Achievement Motivation; Achievement Goal Theory; Classroom Goal Structure; 3 X 2 Achievement Goal Model; Changes in Motivation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Citation
교양교육연구, Feb 2014, 8, P.217-248
Abstract
대학생의 학습동기는 학습과 관련된 노력 및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학생이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는지를 의미하는 성취목표는 주의집중, 노력, 끈기, 학습전략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학생의 성취목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한 가지가 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이다. 교실목표구조란 특정 성취목표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학습환경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목적은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강생들의 성취목표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H 대학교에서 대형 강의식으로 운영된 심리학개론 교양강좌 수강생 158명을 대상으로 학기초, 중간, 학기말에 3 X 2 성취목표모형에 기반하여 성취목표를 측정한 후 지속성 차이, 평균수준변화, 개인수준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기말 학생의 성취목표와 지각된 교실목표구조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시점 간 상관분석을 통해 6가지 성취목표유형의 지속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가지 성취목표유형 모두 심리구인으로서 안정성을 띄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수강생들의 성취목표 평균수준변화를 집단수준에서 각 측정시점 간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과제접근, 자기접근, 자기회피 등의 성취목표유형에서 학기가 지날수록 평균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수강생 6가지 성취목표유형에서 시간에 따라 성취목표수준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셋째, 학기 중 개인수준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6가지 성취목표유형에 대하여 RCI를 산출한 결과, 모든 성취목표유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 학기 동안 수강생 개개인마다 성취목표가 변화할 가능성이 큼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성취목표와 지각된 교실목표구조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과제 및 자기목표의 경우 숙달목표 교실목표구조와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타인목표의 경우 수행목표와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수업을 통해 학습환경을 어떻게 지각했냐에 따라 개인별 성취목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시사점은 한 학기 동안 반복측정을 통해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강생들의 학습동기가 다양한 변화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교육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대형 강의식 교양강좌 수업 운영에서 지속적으로 학생들의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Motivation to lear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llege students’ learning. Among many motivational constructs, achievement goals, objects or outcomes that college students pursue,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various aspects of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ability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s in a large-scale general education class by applying a 3 X 2 achievement goal model. A total of 158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n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 completed the same achievement goal surveys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i.e., beginning, middle, & end of semester). At the end of semester, an extra survey that measured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goal structure was conduc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differential continuity (correlational analysis) suggests that six sub-scales of achievement goals were relatively stable. This implies that six achievement goals are stable as psychological constructs. Second, the result of mean-level change analysis (dependent samples t tests) suggests that task approach, self approach, self avoidance goals increased over the semester. This result shows that as a group, students enrolled in the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 reported changes in goal intensity of each achievement goal throughout the semester. Third, the result of individual-level change analysis (RCI) provides evidence that students’ achievement goals change over time.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dividual students reported changes in their goal intensity of each achievement goal throughout the semester. Finally, there were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s between six achievement goals and three sub-scales of classroom goal structures.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enrolled in a large-scale general education class change their achievement goals over time.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ositive classroom goal structures that can promote mastery goals of college students.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379767http://hdl.handle.net/20.500.11754/47734
ISSN
1976-3212
Appears in Collections:
OFFICE OF ACADEMIC AFFAIRS[S](교무처)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