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9 0

교차로에서 보행자 길 선택과 길선택 영향요인 연구

Title
교차로에서 보행자 길 선택과 길선택 영향요인 연구
Author
박진아
Keywords
보행활성화; 대각선 가로; 가시성; 길선택; Improve Pedestrian; Diagonal Street; Visibility; Path Choice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국도시설계학회
Citation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4, 15(4), pp. 165-174(10쪽)
Abstract
본 연구는 교차로의 가로구조 환경에서 대각선 가로의 보행유입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다양한 각도의 교차로 환경을 3D 가상현실로 구축한 뒤, 1:1실험을 통해 보행자가 선호하는 교차로 환경과 대각선 가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보행자 시야확보 정도와 보행자의 길선택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첫째, 각각의 교차로 환경의 선호도는 10°, 20°, 30°가 높게 나타났으며 3개의 각도 모두 길선택에 있어 직선보다 대각선 선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로 각도별 가시면적 분석결과 30°이하의 각도와 70°가 40°와 50°보다 면적이 넓게 나타났고 가시면적이 넓을수록 대각선을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점 선택이 교차로의 갈림길에 가까울수록 대각선 선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보행자가 길을 선택할 때 가로 구조환경과 시야확보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가로 내부의 물리적환경 외에 교차로에서 대각선 가로에 의해 생기는 가로의 구조적 환경, 즉 초입부의 예각필지로 인한 보행자의 시야확보가 보행자의 길선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factor behind choosing diagonal streets at intersections. Pedestrian field of vision and pedestrian path choices were analyzed after building 3D virtual reality models of various intersection environments and finding the preferred intersection environment and diagonal streets through 1:1 experiments. The test results show first that the preferred intersection environments are 10°, 20°, and 30° and that all three are preferred more than straight-line streets. Second, analysis of the viewable area per degree of intersection show that degrees less than 30° and 70° revealed a wider area than 40° or 50° and that wider viewable areas led to the more frequent selection of diagonal roads. Additionally, the proximity of intersection and view point selection resulted in choosing diagonal roads, which shows that street layout environment and field of vision influence the path choice of pedestria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monstrates that the street layout environment formed by diagonal roads at intersections outside of the internal physical environment of roads, in other words the field of vision of pedestrians regarding entrance, influence pedestrian path choice.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489699http://hdl.handle.net/20.500.11754/46801
ISSN
1598-065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