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4 0

조선 후기 세시풍속, 그리고 일상-세시기,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Title
조선 후기 세시풍속, 그리고 일상-세시기,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Author
박은정
Keywords
조선 후기; 세시풍속; 일상; 표상; 세시기; 세시기속시; 소중화; 태평성대; the later of Joseon; seasonal customs; daily life; icon; Sesigi(歲時記); Sesigisoksi(歲時紀俗詩); Consciousness of “Little-China”(小中華); reign of peace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Citation
동아시아 문화연구, 2014, 58(58), pp. 13-42(29쪽)
Abstract
18·19세기에 오면 세시와 풍속 관련 저작이 집중적이면서 대량으로 출현하는데, 『京都雜志』·『洌陽歲時記』·『東國歲時記』와 같은 산문 세시기와 연작형 기속시들이 있다. 본고는 18·19세기 집중 저작되는 세시풍속 관련 기록을 대상으로, 조선의 자기 표상화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고 세 가지 지점에서 조선의 자기 표상화 과정을 지적하였다.이 시기 작가들은 풍토의 다름을 인정하고 중국 세시기의 영향을 받아 조선의 세시기를 쓰겠다는 인식을 분명히 가지고 있었다. 당대를 소중화의 시대로 평하고 중국 문헌에서 근거를 찾아 우리 문화를 중화로 수식하려 하였는데, 이는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는 과정이었다. 이처럼 하?은?주를 계승한 기자 문화를 간직한 우수한 문화가 현존하는 나라 조선이, 이 시기 세시풍속 관련 저작의 작가들이 세시풍속서에서 표상하고자 했던 “조선”이다.또 이 시기 세시풍속 관련 저작의 작가들은 당시를 성군이 다스리는 태평성대로 이미지 짓고, 그 근거를 세시를 맞아 풍요롭게 세시풍속을 거행하는 백성들의 모습에서 찾았다. 세시풍속 관련 저작의 작가들은 중화의 계승자임을 자부함으로써 문화적 우수성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조선이라는 나라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찾고자 했고, 다른 나라와 다른 조선의 고유성으로 성군이 성덕으로 다스리는 태평성대를 부각시켰다. 고대 중화의 유풍이 그대로 남아 있으면서 성군이 성덕으로 다스리는 태평성대한 나라 조선이, 또한 이 시기 지식인들이 세시풍속서를 통해 표방하고자 했던 “조선”이었다.마지막으로 이 시기 세시풍속 관련 기록에는 풍속의 유래와 출처, 풍속의 소개, 그날의 풍속을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과 더불어 풍속이라 묶기에는 너무나 소박한 일상들이 포착되고 재현되어 있다. 이렇게 소박하게 재현된 일상은 세시풍속 관련 저작이 가지고 있는 태평성대와 중화라는 표상에서 중화를 탈각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일상의 재현은 이 시기 세시풍속 관련 저작이 가장 정직하고 직접적으로 조선의 표상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고 생각한다.In 18?19C, a great deal of works such as Gyeongdojabji(京都雜志)?Yeolryangsesigi(洌陽歲時記)?Dongguksesigi(東國歲時記) which were prose Sesigi and series of Gisoksi related season and customs were released. This paper researched self-symbolizing of Joseon with records related seasonal customs and indicated three points in the course of self-symbolizing.Writers in those time accepted difference of customs and had cognition to write Sesigi of Joseon influenced China Sesigi. They evaluated those time as Consciousness of “Little-China”(小中華) era and tried to express our culture as China customs(中華) finding clues in literature of China, which were the course indicating superior and pride of our culture. It was Joseon that Joseon embracing excellent culture including Gija culture succeeding Ha?Eun?Ju(夏?殷?周) nations and authors writing seasonal customs tried to present.Writers of works on seasonal customs expressed those time as a reign of peace controlled by a good king, found the clues in figures of people performing seasonal customs at each season. Writers of works on seasonal customs revealed cultural superior and tried to find endemism and identity of Joseon congratulating themselves of successors on China customs. They highlighted a reign of peace controlled by a good king with identity of Joseon. Joseon that a country was a reign of peace controlled by a good king and remained classical china culture was a Joseon which intellectuals in those time tried to indicate “Joseon” through works of seasonal customs.Finally, origin and source of customs, introduction of customs, figures of people enjoying customs of that day and merely simple daily lives were captured and represented in works related seasonal custom in those times. These simply represented daily lives functioned to get rid of China customs from icons about a reign of peace and China custom, I considered that representation of daily lives were the course which works on seasonal customs tried to find an icon of Joseon with the most honest and direct method.
URI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ART001904905http://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904905
ISSN
1738-933X
DOI
10.16959/jeachy..58.201408.13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EAST ASIAN CULTURE RESEARCH INSTITUTE(동아시아문화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