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6 0

성폭력 외상 후 스트레스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메타 문헌분석

Title
성폭력 외상 후 스트레스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메타 문헌분석
Other Titles
Meta-Literature Analysis of Art Therapy Research about Sexual Violence Post-Traumatic Stress
Author
현은령
Keywords
Meta-Literature Analysis; Art Therapy Children; Sexual Violence Post Traumatic Stress; 예술
Issue Date
2013-07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13, No.3 [2013], p79-90
Abstract
우리 사회에 성폭력 피해에 대한 보고가 늘어나면서 피해자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후유증에 따른 증상과 치료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전문적인 심리지원에 대한 연구와 사회적 지원 체계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성폭력 피해자들의 스트레스나 위험원에 대한 연구와 정서적 문제인지에 대한 미술 치료적 접근방법의 개발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폭력 외상 후 스트레스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연구를 기존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중심으로 메타문헌 분석하여 향후 더욱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 분석대상은 국내에서 최근 13년 내에 발표된 성폭력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관련 학위 논문 28건과 학술지 12건으로 분류기준은 매체, 표현기법, 프로그램의 구성, 프로그램의 내용 등이다. 자료처리는 수집한 자료들을 통계 분석하여 빈도ㆍ백분율로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의 성폭력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내담자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미술치료 현장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보다 나은 미술치료기법의 아이디어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보다 더 효과적인 미술치료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고통 받고 있는 성폭력 피해 내담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 일상으로의 복귀를 도와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increasing the report about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Korea society, diverse symptom and therapy methods about the victims’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ftereffects are offered. However, the research about professional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to protect victims and social support systems are fairly scarce. Therefore, it is really necessary to research the stress and hazard source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to develop therapeutic approach method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provide better stable and effective art therapy programs and directions for objects with sexual post-traumatic stress, centered with existing theses and advanced researches. The objects of analysis are 28 art therapy theses and 12 preceding researches about sexual violence post-traumatic stress, recently-announced in Korea during 13 years and classification standards are media, expressive technique, program construct and program content. Data processing will be comparatively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s the result, the researcher closely looks at the trend of art therapy for the clients, who experien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bout sexual violence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e research has the aim to draw better ideas by observing the present condition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ich to provide en effective art therapy method and practical supports. Therefore, the researcher expects to contribute to interviewees’ reconversion for everyday life and to provide effective art therapy methods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20691http://hdl.handle.net/20.500.11754/45355
ISSN
1598-23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