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0

노인들의 임플란트 시술과 틀니치료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들의 임플란트 시술과 틀니치료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Awareness of Dental Implant and Denture Treatment for the Aged Population
Author
김윤신
Keywords
임플란트; 틀니; 인식도; Implant; Denture; Awareness
Issue Date
2013-12
Publisher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HYU Institute of Aging Society
Citation
한양고령사회논집, 2013, 4(2), P.53-69.
Abstract
현재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이 크게 증가 하면서 삶의 질과 관련하여 노인의 구강영역 또한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노인들은 여러 구강질환으로 인해 치아 상실률이 높고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면 임플란트 시술과 틀니치료를 받아 치아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임플란트 시술과 틀니 치료에 대한 다양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올바른 치아 진료 방법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치료방안에 대한 기본 자료와 개선방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2013년 10월 21일 ~ 2013년 10월 30일 사이 서울시 중랑구에 위치한 S보건소에 내원하는 65세 이상 남, 여 노인 253명을 대상으로 1:1면접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22.0 ver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연구대상자 253명 중 남자 37.8%, 여자 62.2%로 여자가 훨씬 많이 차지하였고, 연령은 65~69세가 5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은 고졸에서 35.3%로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에서는 101~200만원이 37.0% 로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인적 특성별 구강보건지식 점수 차이를 보면 연령, 학력, 소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서는 75~80세 (8.95) 집단에 비해 65세~69세(9.89) 지식점수가 더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P<.01). 또한 학력은 대졸 이상이고(9.61) 소득이 100만 원 이상일 때 구강보건지식의 점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1).||||임플란트 시술과 틀니 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 본 결과 임플란트의 최고 높은 인식도는 ‘저작기능’으로 3.85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인식도 점수로는 ‘치료기간’에 대한 것이 2.55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틀니치료에 대한 최고 높은 인식도는 ‘심미성과 치료기간’으로 2.98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인식도 점수로는 ‘발음의 정확성’에 대한 것이 2.91점으로 나타났다. 인적특성별 차이를 보았을 때 임플란트 인식도에서는 연령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1), 틀니 인식도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임플란트 지식은 소득이 많을수록 ‘건강한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라는 대답이 많았고 (42.3%) 그 다음으로 ‘씹는 기능이 좋아서’가 (30.8%)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임플란트 합병증에 대한 부분에서는 연령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P<.01) 65세~69세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틀니 지식에 대한 부분에서 틀니의 필요성 부분은 연령을 제외한 성별, 학력, 소득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P<.05). 성별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틀니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100만원 미만인 집단에서 틀니가 필요하고 나타났다. 틀니 선택 이유를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씹는 기능이 좋아서’ 연령이 낮을수록 ‘임플란트 수술의 부작용, 임플란트 비용이 부담되어서’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P<.05).||||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임플란트 수술의 부작용’에 대해 높은 응답률을 보여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5). 틀니 관리 방법에 대한 생각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P<.01). 연령이 높을수록 중졸자와 대졸이상에서 ‘틀니는 소금물에 담궈두어야 한다.’ 가 높은 응답률을 차지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틀니 부작용에 대한 생각 부분에서는 연령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포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5).||||본 연구결과 임플란트 시술과 틀니 치료의 다양한 인식도에 대해 볼 수 있었다. 단순히 임플란트의 시술의 인식이 모든 면에서 무조건적으로 좋고, 틀니는 임플란트 보다 낮은 것이라는 인식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노인들의 치아 치료방법의 인식을 높여 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며 개개인 상황에 맞는 치료방법을 위해 노인 스스로와 치과의사, 치위생사 등과 함께 발전 해 나가야 할 것이다.Issues regarding the elderly's teeth has been increasingly gathering attention as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greatly increased. As elderly has lost many teeth due to dental issues, they have to get implant and dentures so that they could perform correctly.||||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thod of correct dental examination by conducting researches and provide basic material for efficient treatment method and room for improvement. For this reason, one on one survey for those who go to S health care center located in Jungrang-gu, Seoul over the age of 65 has been conducted. The survey has been analyzed using SPSS 22.0 version.||||The results are as follows.||||Among 253 subjects, female subjects far outweigh the male subjects; 62.2% and 37.8% respectively. In regards to age, 65 to 69 take up 54.3%. And 35.3% were graduated high school, which is the most prevalent. For an income level, 1.1 million won to 2 million won take up the most; 37.0%.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dental hygiene knowledge depending on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65 ~69 group scored significantly better than 75~80 group; 9.89 to 8.95 (P<.01). In addi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when elderly graduated University (9.61) and have more than 1 million won of income, they showed better score in dental hygiene (P<.01).||||Looking at the awareness level about implant and denture, elderly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in masticatory function; 3.85 and lowest perception in treatment period; 2.55. In the other hand, they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in aesthetics and treatment period; 2.98 in terms of denture treatment, and lowest in pronunciation accuracy; 2.91. In personal characteristics difference, awareness level about impl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P<.01), and this goes with the denture as well.||||About implant knowledge, the higher the income, the more they answered 'not to damage healthy teeth (42.3%)' followed by 'chewing function is good (30.8%)' (P<.05). About complications in relation to implan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P<.01). It has been discovered that 65 to 69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 difference.||||About denture-related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observed about the necessity of denture by gender, education level and income except for age (P<.05). Women feel more necessity over dentures than men. And the less the educational level, the more they feel they need denture; income level less than 1 million won group. In regards to the reason for choosing denture, the more they age, they say 'because it is good for chewing' and the less they age, they choose 'because the implant cost is burdensome' (P<.05).||||In addition, the higher the education, they worried 'side effect of implant surgery', which implie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erms of maintenance method,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observed in age, gender and education level (P<.01). Those who are elder and graduated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they answered 'dentures have to be put in the salt water'. When it comes to side effect of dentures, comparison by a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perceptions about implant and dentures. It is not that elderly unconditionally advocates implant, rather than dentures. Thus, it is important to raise perceptions of elderly about dental treatment and to develop treatment method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condition.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729631http://hdl.handle.net/20.500.11754/45139
ISSN
2233-677X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