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선희-
dc.date.accessioned2018-03-12T01:31:34Z-
dc.date.available2018-03-12T01:31:34Z-
dc.date.issued2013-06-
dc.identifier.citation한국언론학보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3, 57(3), P.135-161en_US
dc.identifier.issn1229-7526-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Article/NODE02194590-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450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한 케이 팝을 대중음악 연구의 기반에서 재조명하고, 그의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케이 팝은 신 한류의 중심 장르로 발전했는데, 이는 일 세대 한류와 일정한 차별성을 가지고 담론적으로 형성된 결과이다. 신 한류가 구가하는 보편주의 장르주의 글로벌리즘의 원리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케이 팝의 유럽에서의 수용과 현지 청소년 문화와의 조우를 초점으로 하고 있다. 민속지학 연구를 위해 10개월 동안 런던에 거주하는 청소년 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영국 최대 케이팝 팬 사이트인 KLUE를 통해 팬 활동을 참여 관찰하였다. 대중음악 연구의 근간이 되는 이론 집단인 산업이론, 비판이론, 문화 이론,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이 유럽에서 케이 팝 수용의 비 집단적, 비동원적이며 복합적이고 유동적인 문화 활동을 설명하는데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의 기존 연구 틀이 케이 팝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부분과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이론적 시각을 형성하기 위한 시도로 구체적 현실의 장에서 새로운 문화가 수용되고 일상적으로 의미가 생성되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2년 정부 (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2S1A5A2A01015989).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언론학회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en_US
dc.subject대중음악en_US
dc.subject문화연구en_US
dc.subject수용자 연구en_US
dc.subjectethnographyen_US
dc.subject사회en_US
dc.subjectSocial Scienceen_US
dc.subject신문en_US
dc.subject언론en_US
dc.subject저널리즘en_US
dc.title케이 팝의 유럽적 수용과 문화 확산의 청소년 수용전략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57-
dc.relation.page135-161-
dc.relation.journal한국언론학보-
dc.contributor.googleauthor윤선희-
dc.relation.code2012101598-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SOCIAL SCIENC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A COMMUNICATION-
dc.identifier.pidsyoo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