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4 0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Title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Conceptualizing Yungbokhap Education: An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Author
주미경
Keywords
융복합교육; 지식융합; 포커스 그룹 면담; 다문화주의; yungbokhap education; knowledge integration; focus group interview
Issue Date
2013-03
Publishe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ita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1, pp. 107-136 (30 pages)
Abstract
융복합교육은 삶의 영역 또는 학문(교과) 사이의 소통적 교육을 통해, 학습자를 다원화된 미래 세계가 요구하는 창의성 및 인성을 갖춘 인재로 양성하는 교육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론적 관점에서 기존의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지식 융복합 현상의 인식론적 지평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적인 관점에서 융복합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양상을 탐구하기 위해 일선 학교 현장에서 융복합적 관점에서 교육을 실천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천공동체의 융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융복합교육은 개별성과 다양성, 그리고 그들 사이의 대화적 통합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포괄하는 교육적 실천의 형태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융복합교육은 현재 정책적 차원에서 실행되고 있는 융합 교육을 확장한 교육 모델이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주요한 교육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학습자의 개별성과 다양성에 따른 교육적 수월과 평등을 성취하기 위한 방안이라고도 할 수 있다.As part of a larger research project for developing a glocal model of yungbokhap education, this paper attempts to conceptualize yungbokhap education from a glocal perspective. For the purpose, we have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see how yungbokhap education is understood in academic discourse. Then, in order to tease out and scrutinize school teachers’ own notions of yungbokhap education, we have interviewed a group of teachers with an experience of integrating elements of yungbokhap education into their instructional practice.We have identified two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yungbokhap education standing out in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One is to conceptualize it as a means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ontemporary socioeconomic context emphasizing the value added from knowledge convergence. The other is found in a body of literature on the epistemological norms pertaining to knowledge convergence, in which knowledge convergence is represented as a phenomenon of forming epistemic networks across multiple disciplines to expand the boundary of what is regarded as legitimate ways of thinking and knowing.The findings from data gathered from our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have echoed the view on yungbokhap education as an integrative and holist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hereby the current system of education can be constructively redesigned with new inclusive epistemological norms introduced to the system. Our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has also revealed some limitations in the school teachers’ conceptualization of yungbokhap education, which invites further research into its future development.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51046http://hdl.handle.net/20.500.11754/43952
ISSN
1229-154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MATHEMATICS EDUCATION(수학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