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6 0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 개입 : 1987년 이후 13~17대 대선캠페인 기간의 주요일간지 사설 분석

Title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 개입 : 1987년 이후 13~17대 대선캠페인 기간의 주요일간지 사설 분석
Other Titles
The Partisanship of Media and the Media Intervention in Political-power Cre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Major Newspapers' Editorial Articlesduring the 13-17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Author
한동섭
Keywords
언론권력; 정치권력 개입; 언론의 정치 권력화; 대선보도; 정파성making; election; vote; media power; intervention to political-power creation; politicalization of media; presidential election coverage; partisanship
Issue Date
2012-06
Publisher
한국지역언론학회
Citation
언론과학연구, 2012, 12(2), P.534-571(38)
Abstract
본 연구는 언론이 어떻게 정파성을 드러내면서 정치권력 창출에 개입하며 이를 심화해 나아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민주화 이후 치러진 13∼17대 대선기간의 주요 일간지 사설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언론의 정치지형과 변동과정을 추적하고 그 함의를 찾아보았다. 연구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언론은 지면을 통해 권력창출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념적 성향은 보수와 진보로 점차 나뉘어져 가는데,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14대부터, 동아일보와 경향신문은 15대에 시작하여 16대부터 뚜렷해졌다. 이로 인해 16대 대선부터는 주요언론들이 보수와 진보로 극명히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언론은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지지하지 않는 유력한 상대후보를 비판하여 지지하는 특정후보에게 유리하도록 보도하였다. 언론사 소유구조의 차이와 변화, 그리고 각 정부의 언론정책이 개별언론사가 정파성을 드러내며 권력개입을 시도하는 시점과 이념적 방향 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edia intervene in political-power creation expressing their partisanship and how it is deepened. For this, we performed a time series analysis in analyzing the major daily newspapers' editorial articles during the 13-17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traced political change of media, and then explored the social implications. Findings are as follows. It has been confirmed that, as time passes, media actively intervene in political-power creation process. Ideological tendency is gradually divided into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Chosun-ilbo, Hankyoreh from the 14th, and Dong-A, Kyunghyang -Shinmun from the 16th. From the 16th, therethrough, major newspapers showed aspect conflicting fiercely between the so-called ‘conservative press’ and the ‘progressive press’. These media either criticize the opposite candidate or support the specific candidate depending on political stance. Based on such findings, we discuss that both the temporal point of intervention in political-power and ideological direction are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media ownership and the press policy of government.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68032
ISSN
1598-265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