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 0

수사학적 맥락의 미디어 건축 표면 표현특성 연구

Title
수사학적 맥락의 미디어 건축 표면 표현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i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o the Surface of Media Architecture using Rhetorical Context
Author
남경숙
Keywords
Rhetoric; Communication Media; Media Facade; 예술
Issue Date
2012-10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2012], 253-263(11쪽)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학문인 수사학이라는 이론적 개념을 통하여 미디어 건축표면의 표현방식을 재해석해 보고자 한다. 수사학이 어떻게 공간과 접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미디어적 특성에 따라 고려되어져야 하는 표현요소를 사례별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최근 6년간의 작품으로 미디어의 표현이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건축 표면으로 분류하였다. 사례대상은 지역의 랜드 마크의 역할을 하며 미디어의 특성을잘 표현하고 있는 국내와 해외 건물 총 15곳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내용 및 방식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미디어의 특성을 추출한 후 그것을 토대로 수사법과 건축 언어의 표현 요소에 대한 관계를 도출하였다. 문헌 조사와 직접 방문을 통하여 사례를 분석한 후 미디어의 세 가지 특성의 적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요소를 충족하긴 하였으나 그 정도가 미비하거나 건축물 자체의 개성이나 의도하는 바를 정확히 담지 못하고 시각적인 이미지 형성에만 중점을 둔 사례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디어를 사용한 광고와 파사드, 건축물이 도시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와 소통하지 못하는 미디어 건축물은 오히려 시각적 공해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디지털 기술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우리는 진정한 미디어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건물에담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건물의 외피에 적용된다고 해서 건축물의 표면에서만 표현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에 이르기까지 통일된메시지와 디자인 요소의 조합이 기획단계에서부터 정확히 계산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media skin and its expression using rhetoric the theoretical concept of communicology. Examined how the rhetoric could be added to the space, and checked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on a case-by-ca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The range of research o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surface of architecture that expression of media ismost effectively used in the works of the last six years. Fifteen located in the country and overseas media architectur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a case study. The way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s is focused on the derived relationships between the rhetoric and the expressions of the language in architecture after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based on advanced research. Applicationof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was evaluated after the visit and the documentary survey. As a result, there was a lot of cases: each of the elements meet the case but much to be desired, and placed an emphasis on the formation of visual image with the building itself lack of personality or intention to do exactly. In addition, there is a potential to cause visual pollution by the media architecture that users can not communicate with in this situation for buildings and facades covered with media advertisement occupied the space of the city. Digital technologies are developing in a variety of ways,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rue message of media that wants to pass it on using the buildings. And not only the message could be applied to the exterior of the buildingwhich is expressed on the surface, but also the combination of design and unified messag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ill have to be made exactly from the planning stage.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008828http://hdl.handle.net/20.500.11754/39853
ISSN
1598-23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