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5 0

시각장애아동의 리터러시 능력 함양을 위한 미술교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Title
시각장애아동의 리터러시 능력 함양을 위한 미술교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Digital Art Textbooks to Improve Visually Impaired Children’s Literacy Skills
Author
현은령
Keywords
Digital Textbooks; Visually Impaired Children; 예술
Issue Date
2012-07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3호(통권 제35호), 311-320 (10 pages)
Abstract
최근 학교 교육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2009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급을 설치 운영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특수학교 교육과정 및 교수ㆍ학습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미술과 교육과정이 그대로 동일하게 모든 학교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와 지역의 상황과 특성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겠다. 미술교과에서도 ‘무엇을 아는가’에서 미술 학습을 통하여 사회와 삶 속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로 초점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시각장애 아동의 미술교육은 촉지감의 경험에 의존한 조형적 창작활동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기존 비장애 아동에게 강조되었던 ‘무엇을 아는가’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마저도 원활하게 제공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시각장애 아동의 세상에 대한 이해기능을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높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시각장애 학교 교사들은 시각장애아동의 특성상 다양한 경험활동의 부재로 인해 시각장애아동 스스로의 배경지식의 범위가 넓지 못함을 이론교육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촉지각 활동을 넘어선 디지털교과서를 통한 다양한 학습 자료의 제공은 시각장애 아동의 배경지식 함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창의성과 다양성을 강조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고려할 때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이 학생들의 미적 경험에 중요한 변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시각장애 아동의 미술 수업에서 교사가 국가 수준 교육과정 자체를 그대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특성에 맞추어 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조정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되어지는 현장적용 가능한 다양하고 구체화된 디지털교과서는 시각장애아동의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고 나아가 우리사회 소수자의 교육 권리를 이행하는데 도움을 주어, 결과적으로 복지 국가 실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Currently, as the authority of schools and the respect of diversity are emphasized, the requests from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or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directly affect to construct school curriculum. It requires operating special classes for handicapped students in the introduction of curriculum of 2009. Therefore, art curriculum have to be flexible applied to schools syste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reas, students, and situation rather than standardized education. The curriculum of art more focus on ‘what can you do’ within one’s society rather than ‘what do you know’. However, the art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has been more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tactic perception such as molding art activities, meaning that the educational system does not provide the fundamental education to them. Therefore, it is a target to increase visually impaired children’s literacy skills through art digital textbooks. According to teachers’ recommendation in the field of visually impaired schools, the students have limitation so experience the absence of diverse experimental activities. In this perspective, their teachers point the uppermost limitation of theory that lead the student narrow. Therefore, the providing of various leaning materials-curriculum through digital textbooks would assist in progressing and expanding visually impaired students’ schematic knowledge. When considering the directing point of curriculum, emphasizing creativity and diversity, teachers’ ability to restructure the course of study plays a significant role to improve students’ aesthetic experience. Furthermore, as a result, this research study might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public welfare.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925230http://hdl.handle.net/20.500.11754/39850
ISSN
1598-23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