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6 0

Healthcare Service 제공을 통한 스마트 기기 활용의 기초 연구

Title
Healthcare Service 제공을 통한 스마트 기기 활용의 기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 Efficient Healthcare Service by Smart Device Research
Author
이재환
Keywords
헬스케어; 스마트 디바이스; 워어러블; Healthcare; Smart Device; Wearable
Issue Date
2015-09
Publisher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Citation
산업디자인학연구, v. 9, NO 3, Page. 143-154
Abstract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던 IT산업이 2013년부터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둔화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디바이스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탑재에 따라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져 환자 또는 의료진에게 스마트폰 기반의 의료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주변기기에 대한 이해와 발전 과정을 통해 스마트 워치와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기반 조사를 통해 이용자들의 헬스케어서비스 활용 방안과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세 이상 30대 후반까지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설문은 제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의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2) 설문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Cronbach의 A 계수를 구하였다. 3)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사용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 및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Variance)을 실시하였다. 4)헬스케어 앱 사용자 집단과 비 사용자 집단에 따른 영향변수 및 사용의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희성, 개인의 혁신정도, 정보 활용 편리성 등을 도출하여 사용자 집단과 비사용자 집단 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사용의도 및 영향변수 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헬스케 앱 사용자 집단과 사용 의도는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대졸이상이 고졸이하보다 사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신뢰할 만하고 도움이 되는 양질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사용이 편리한 친화적 시스템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헬스케어어플리케이션의 활용 증진을 위하여 개발자에게 보완 또는 개발 시 중점을 두어야 할 주요 속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직관성에 맞춰진 인터페이스, 앱 사용법, Wearable 기기의 사용 편의성, 등도 함께 고려되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IT industry was showing explosive growth has slowed at a faster rate than expected from 2013. The worldwide installation of various types of sensors and wireless network interface device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field of medical services a number of studies to provide a smart phone based medical application to patients or physicians began proceed. In this paper, through the bas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smart watch and mobile health care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process to the smart phone of peripherals, and tried to present the utilization scheme and problems of the health care services of the user. Collecting data for the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to target the general adult of up to 30 generations the second half of the more than 20-year-old. Questionnaire that is judged to be insincere response in which were exclud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was analyzed as follows. 1) technology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of the statistics. 2) conducted a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ation of survey questions, to determine the A coefficient of Cronbach through a reliable analysis. 3) study'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care applications t-test to examine the degree of the use of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alysis ofVariance) was performed. 4) In order to confirm the user population and the non-user population of health care application and impact variables those of use, was carried out independent samples "t" test. In this study, we play property, personal innovation about, and to derive and convenie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and compared user popul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on-user population, such as the time and influence variable of use. Results of the study, we have presented suggestions such as the following. Application developers to be able to induce the continued use, it should be designed trusted. In addition, intuitive keyed interface, application usage, ease of use of Wearable devices, and should be developed are considered together well as.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9336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94263
ISSN
1976-874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TECHNO-PRODUCT DESIGN(테크노프로덕트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