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6 0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무용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Title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무용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Research of the Developmental Pla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Using Storytelling Approach -Edutainment with Storytelling-
Author
김운미
Keywords
무용교육콘텐츠;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Dance Education Contents; Edutainment Storytelling
Issue Date
2012-04
Publisher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Citation
우리춤과 과학기술, 8, 1, 37-58
Abstract
지식기반을 토대로 창의성이 중심이 되는 문화의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이해와 체험을 통한 창발적인 인간을 양성하고 사회적 소통능력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으로의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무용 역시 시대가 요구하는 환경에 따라 변화하며 창발적인 문화예술교육콘텐츠로 개발되어야 한다. 각종 미디어가 발달하고 있고,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습득에 대한 교육방법들이 다양화 되고 있기 때문에 무용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이를 통한 현장교육과의 상호작용은 무용교육에 활기를 불어 넣어 줄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으로써 무용이 일반인들에게 좀 더 흥미롭고 즐겁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으며, 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천자료 수집을 통한 무용원형 분류 및 무용유형의 체계화이다. 이것은 무용교육콘텐츠의 정체성을 심어주고 새로운 생명과 가치를 부여하여 무용교육 콘텐츠가 일반인 및 무용전공자들에게 좀 더 주체성 있게 다가갈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이것은 원천소재를 스토리로 개발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둘째, 무용교육콘텐츠 자료의 디지털라이즈화이다. 무용교육콘텐츠 자료의 디지털 베이스를 구축하고 저장하는 것은 피교육자들이 능동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정보를 습득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자료화 되어진 디지털 베이스는 무용전문가, 스토리텔링전문가, CT/3D 전문가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해 재구성되어 일반인들이 무용콘텐츠에 좀 더 쉽고 재밌게 접근하고 몰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셋째, 다양한 스토리텔링 구성을 통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이다.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다양한 스토리텔링 구성을 통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안은 무용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 무용인물 캐릭터 및 소도구 아이템 스토리텔링구성, 무용 사건-시대 및 배경 스토리텔링 구성, 무용주제 및 유형스토리텔링 구성, 무용동작 스토리텔링구성, 피교육자의 연령-계층을 고려한 스토리텔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무용교육현장과의 상호작용은 일회적인 흥밋거리가 아닌 피교육자들과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이어나 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본다. 빠르게 흘러가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무용교육이 하나의 교육콘텐츠로써 지속적으로 개발된다는 것은 무용이 가진 교육, 사회적 가치를 재평가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앞으로 열린 사고와 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창조적인 가능성을 개발하는 것이 무용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가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진행을 위한 기초 연구에의 효율적인 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gradually been increasing in the age of culture where creativity plays a pivotal role with knowledge based learning. The stud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intended to nurture emergent humans and develop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Thus, dance including various capabilities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demanded by the age of the participants and be developed as an emergent conten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an interaction with teaching field from this would revitalize dance education considering that many types of media have been developing and teaching methods have been diversifying in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Contents with an edutainment storytelling approach, giving interesting and pleasant meanings to dance that is more approachable to the general public. The pla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ystematize the type of dance and classify the original form of dance by collecting the raw data. It would be a foundation for Dance Education Contents to be able to access dance majors and the general public, instilling the identificatio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assigning value and new life. Moreover, it would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to transform raw data into stories. Second, digitize the data of Dance Education Contents. Building digital databases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saving them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student to interact actively and acquire information. The processed digital base would be reorganized by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dance experts, storytelling professionals, and CT/3D experts and provide a chance for the ordinary people to be able to approach dance contents with increased ease and delight. Third, develop Dance Education Contents by using edutainment storytelling. The pla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with edutainment storytelling is comprised of dance space, character of the dancer, storytelling props and other visual aids, creating dance education scenarios and dance education program. The interaction of dance education fields with diversified storytelling would be powerful enough to lead education not with a passing interest but with sustainable interests and concern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s an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would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educational and social value of dance education. Furthermore, developing creative possibility with an open mind and professional knowledge would be a rising concern in danc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be an effective plan in basic research for various following studies about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Contents.
URI
http://uci.or.kr/G704-SER000014875.2012.8.1.007http://hdl.handle.net/20.500.11754/37386
ISSN
1738-917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S](예술·체육대학) > DANCE(무용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