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0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Title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Other Titles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 A Test of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Author
김두섭
Keywords
국제결혼; 선택혼; 부부의 상이성; 결혼안정성; 결혼지속기간; 국제결혼 개방성 가설; Transnational marriage; Positive assortative marriage; Spousal dissimilarity; Marital stability; Marital duration;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Issue Date
2012-04
Publisher
한국인구학회
Citation
한국인구학, 2012, 35(1), P.1-30
Abstract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제결혼이 연령과 교육수준이 동질적인 선택혼(positive assortative matching)의 형태로 이루어지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로 부부의 연령상이성과 교육상이성 지수를 계산하고, 이 지수들과 평균 결혼지속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미시수준에서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가 결혼만족도, 결혼지속기간과 이혼확률의 편차를 설명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과 교육수준 격차가 내국인 부부들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외국인 아내를 구하는 한국 남자들이 배우자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에 대해 보다 개방적이고 융통적일 것이라고 가정한 국제결혼개방성 가설(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이 지지되었다.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가 커질수록 결혼의 해체가능성이 높아지고 결혼지속기간이 짧아질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가설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들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pousal dissimilarity on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Utilizing micro-data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Multi-culture Family Surve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formation of transnational marriage generally involves positive assortative matching on age and education. Indices of age dissimilarity and educational dissimilarity are calculated for each country of origin of the foreign wife,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average duration of marriage are analyzed. This study also conducts a micro-level analysis of whether age and educational dissimilarity between spouses helps explain variations in marital duration and probability of getting divorced. Results show greater incidences of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among transnational couples, which supports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extant hypothesis that spousal dissimilarity increases the risk of marital dissolution and shortens the duration of marriage is not found to fit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59410
ISSN
1226-298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SOCIOLOGY(사회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