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0

A Comparative Study of Prospective Teachers’ No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지연구)

Title
A Comparative Study of Prospective Teachers’ No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지연구)
Other Titles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지연구
Author
심미경
Keywords
비교연구; 다문화교육; 예비교사; Cross-Cultural Study; Multicultural Education; Prospective Teachers
Issue Date
2011-08
Publisher
한국비교교육학회
Citation
비교교육연구, Vol.21 No.3 [2011], 1-2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미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교사교육계에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각국의 10명의 예비교사를 선정, 심층면접을 기반으로 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나라의 사회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는 듯 이들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요소들에도 몇몇 차이점들이 발견되었으나 이들 모두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으며 각자의 교수방법이나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에 진정한 배려와 친밀감이 내재되어야 비로소 진정성 있는 다문화교육이 행해진다는 믿음을 공유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한국과 미국 모두 여전히 초보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당연히 거쳐야 하는 일종의 통과의례로서 치부해 버리는 경향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는 교사교육 현실도 가늠할 수 있었다. 이는 많은 교육현장 전문가들이 앞으로 교사교육기관들이 현장실습/교생실습 교육에 있어서 기술적/훈련적인면보다는 좀 더 내면적인 성찰면에 주의를 기울여야함을 주장하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화와 다문화의 시대에 있어 현장실습이나 교생실습에 있어서도 다문화교육에 대한 실습적인 면에서의 성취 이상의 내재적인 의미의 가치를 부여해 줄 수 있을 때 비로소 예비교사들은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자신의 교육목표에 수반된 각종 전략과 교수 기술에 관한 문제점, 예비교사 자신의 지식 등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인 것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교육기관들이 먼저 문제의식을 가지고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갖는 경험과 배경 그리고 삶의 목적에 따라 다문화교육 속에서 보다 능동적인 의미형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려는 교수활동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함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This paper describes a study that examined the no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perceived by prospective teachers in Korea and the U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data are reported and excerpts from teacher narratives are used to illustrate the findings. The analysis of these qualitative data concludes tha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rospective teachers’ beliefs about ME. That is, these novic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what constitutes ME in their classroom vary, but they also generate a similar coherent theme. Further, it showed that school context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eachers’ beliefs about ME, and further that the way teachers make meaning of ME tends to be the result of their active adaptation to each given school context.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300487#
ISSN
1229-390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