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 0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의 매개역할

Title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의 매개역할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nditional Positive Regard, Conditional Negative Regard, and Autonomy Support on the Failure-Tolerance: Achievement Goals as a Mediator
Author
조한익
Keywords
성취목표; 실패내성; 자율성지지; 조건적 관심강화; 조건적 관심철회; achivement goals; autonomy support; failure-tolerance; parental conditional regard; Social Science; 사회문제
Issue Date
2011-09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Citation
청소년학연구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1-09 18:211-236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보고한 양육행동(조건적 관심강화, 조건적 관심철회, 자율성지지)과 아동의 성취목표, 실패내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양육행동과 실패내성과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 5, 6학년의 224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양육행동 중 조건적 관심강화는 수행목표인 수행접근과 수행회피, 숙달접근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조건적 관심철회는 수행회피와만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율성지지는 숙달목표인 숙달접근, 숙달회피와 정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수행회피와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행동과 실패내성을 살펴본 결과, 조건적 관심강화는 실패내성과 관련성이 없었고, 조건적 관심철회는 실패 후 감정, 행동과 부적상관을, 자율성지지는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상관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율성 지지가 실패내성의 하위요인인 실패후 행동, 어려운 과제 선호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숙달접근 목표가 완전매개하였고, 자율성 지지가 어려운 과제 선호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숙달회피 목표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건적 관심철회뿐 아니라 조건적 관심강화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자율성 지지와 실패내성과의 관계에서 숙달목표가 매개한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자율성 지지가 자녀를 교육하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We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conditional positive and negative regards and autonomy support would be influence children`s achivement goals and failure-tolerance. Furthermore,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achievement goa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failure-tolerance. We analyzed data from 224 elementary 5th, 6th grades in seou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ditonal positve regar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stery goal, conditional negative regar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stery-avoidance goal, autonomy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goal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mastery-avoidance goal. Second, conditional positive regard was not related to the failure-tolerance, conditional negative regard was negatively related to failure-tolerance, autonomy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ailure-tolerance. Third, the effect of autonomy support on action after failure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as mediated by performance goals.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on achivement goal and failure-tolerance, advanced our understanding about the mechanism of parenting behaviors by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performance goal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failure-tolerance.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61781
ISSN
1229-698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